컨텐츠 바로가기

05.08 (수)

[사설] G7 참석하는 한국, 미-중 신냉전 속 치밀한 전략으로 성과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면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해달라는 요청에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대해 “조금도 회피할 필요가 없다. 환영할 일”이라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G7 정상회의에 한국·인도·오스트레일리아(호주) 등을 초청해 ‘반중국 연합’을 만들려 한다는 우려가 나왔지만, 문 대통령은 초청을 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국제사회로부터 코로나19 ‘방역 모범국가’로 평가받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이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의지도 읽힌다. 강민석 대변인은 “우리나라가 G11, G12 정식 멤버가 되면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청와대는 중국이나 홍콩 문제는 양국 정상 통화에서 언급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앞서 미 백악관 당국자는 G7 확대 개편과 관련해 “중국과 관련된 미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명히 밝혔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일 미국이 G7 정상회의에 한국 등을 초청한 데 대해 “중국을 겨냥해 왕따를 시키는 것은 인심을 얻지 못할 것”이라며 경계감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말고 초청한 인도와 호주는 미국이 중국을 봉쇄하기 위해 추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국가들이다. 문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것은 한국 외교의 기회이자 도전이다. 미-중 갈등의 소용돌이 한복판에서 세계 정세의 흐름을 치밀하게 읽고 현명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최근 미국의 ‘중국 때리기’는 중국의 부상을 경계하는 미국 사회 전반의 위기의식이 반영돼 있어 장기화할 수밖에 없다. 미-중 갈등은 무척 복합적이다. 무역·금융 등 글로벌 경제의 주도권 다툼을 넘어 안보·인권·이념 등에서 복잡하게 벌어지고 있다.

한국은 미·중 어느 한쪽에 서느냐가 아니라 우리의 국익을 중심에 놓고 주요 의제별로 대응해야 한다. 사안별로 구체적으로 대응하되, 한반도의 평화와 미래 경제 전략 등도 두루 검토해야 한다. 홍콩 보안법 문제 등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의 민주화 경험 등을 고려한 한국의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한다. 기업인 입국 간소화 절차 마련 등 코로나19 대응에서 중국과 쌓은 신뢰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미-중 갈등에 휘말릴 위험을 줄이려면 입장이 비슷한 나라와 함께 움직이는 다자주의 외교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홍콩 보안법과 관련해 영국·호주·캐나다 등은 “우려한다”는 공동 성명을 냈다. 코로나19로 강대국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어 한국이 치밀한 전략을 마련해 대응하면 국제사회에서 중견국으로서의 위상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도전에 맞서 치밀한 전략을 세워 기회를 만드는 한국 외교를 기대한다.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뉴스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