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우주를 보다] 3년 만에 최대 ‘태양 폭발’ 포착… “태양이 깨어나고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사진=NASA(2020년 5월 29일에 촬영한 태양의 활동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7년 이후 가장 큰 태양 폭발 현상이 포착됐다. 전문가들은 ‘태양이 깨어나고 있다’며 태양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태양 플레어로도 부르는 태양 폭발은 태양 대기에서 물질을 가열 또는 가속시키는 에너지의 갑작스러운 방출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 과정에서 대량의 물질이 우주공간으로 분출되는 태양활동 중 가장 강력한 표면 폭발 현상을 의미한다.

태양 폭발은 태양의 흑점이 많은 영역에서 주로 발생하며, 태양흑점주기와 발생 빈도가 일치한다. 즉 흑점수가 많은 시기에는 태양 폭발이 발생하는 빈도도 높게 나타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지난달 29일 관측한 이번 태양 폭발은 2017년 이후 그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전문가들은 태양 흑점의 활동도 이전보다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

이번 태양 폭발은 미국 우주기상예측센터가 설정한 일정 수준을 넘지 않아 위성 통신 장애를 포함한 전파 통신 장애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NASA 측은 11년 주기로 나타나는 태양의 활동 주기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NASA 측은 “일반적으로 태양폭발 후 몇 개월 후에는 흑점의 개수가 줄어들고 태양 폭발 빈도도 낮아지는데, 이번에는 새로운 흑점이 생겨나지 않는지, 폭발 규모가 더 커지지는 않는지 관찰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 흑점의 상태를 보아 태양의 활동 주기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흑점수가 최대치에 이를 때를 ‘태양 극대기’, 그 반대일 때를 ‘태양 극소기’로 부른다. 태양의 활동은 2014년 최고점에 도달했고, 이후 감소세를 보이는 상태임에 따라 현재를 태양 극소기로 보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지배적이다. 일반적으로 11년 주기로 강해졌다가 약해지는 태양의 활동은 비교적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2016년에는 흑점이 완전히 사라진 태양의 모습이 관측되기도 했다. 흑점이 보이지 않으면 지구의 기온이 약간 떨어져 지구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 이는 역사적인 기록에도 남아있다. 과거 1000년 동안 태양 흑점이 장기간 사라진 것은 최소 3차례로, 이후 큰 가뭄이 들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흑점이 관측되지 않았던 15세기 10여 년에 걸쳐 대가뭄이 이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NASA는 “태양 극소기로 접어들면서 흑점 활동이 줄어들었지만, 향후 6~12개월 태양의 흑점을 분석하는 시기가 지나야만 태양의 정확한 운동 상태를 알 수 있다며, 현재 태양의 흑점 수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