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해수욕장 2m 거리 수칙 세웠지만… 수백만 인파 어떻게 통제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물 밖 마스크·샤워실 한 칸씩 띄워 사용
행정조치 수단 없어… “지속 지도할 것”
코로나 확산 추이 따라 지침 바뀔 수도
서울신문

1일 ‘안전 개장’한 부산 해운대구 송정해수욕장에서 관광객들이 망중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안전 개장은 해수욕장을 개장하지만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한 달간 물놀이 구간, 해변 파라솔 설치 등을 제한해 개장하는 것을 뜻한다.부산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이 1일 개장한 데 이어 7월 초부터 전국 267개 해수욕장이 순차적으로 문을 연다. 방역 당국은 해수욕장에서도 2m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을 지켜 달라고 요청했지만, 물놀이 인파를 통제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해수욕장 이용객이 밀집하지 않도록 한적한 중소형 해수욕장을 이용해 달라는 내용의 ‘해수욕장 이용 지침’을 배포했다. 지침에 따르면 날씨가 무덥더라도 물놀이를 할 때를 제외하고는 마스크를 꼭 착용해야 한다. 또 백사장 햇빛가림시설(차양)은 2m 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과도한 음식물 섭취와 음주도 자제해야 한다. 비말을 전파할 수 있는 침 뱉기도 하지 말아야 한다.

김태경 해양수산부 해양레저관광과장은 민간 사업자가 주로 설치하는 백사장 차양 시설의 경우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대해 “사실 이 부분에 대해 별도의 행정 조치를 가할 수 있는 수단은 없다”면서도 “이번에 수칙 안에 차양을 2m 간격으로 설치하도록 했고, 운영 요원이 지속해서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개장한 부산 해운대와 송정해수욕장의 풍경은 예년과 달랐다. 파라솔과 튜브 대여소는 보이지 않았고, 대신 ‘생활 속 거리두기’를 홍보하는 현수막이 걸렸다. 발열 시 해수욕장 출입을 금하고, 해수욕장 내 침 뱉기와 코 풀기를 자제해 달라는 안내판도 있었다.

해수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오는 15일부터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전국의 이용 가능한 중·소형 해수욕장 정보를 안내할 예정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해수욕장 이용 시 단체 방문을 자제하고 가족 단위로 이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샤워장을 이용할 때도 거리두기를 지켜야 한다. 샤워 시설은 한 칸씩 떨어져 이용하고 해수욕장 관리사무소 등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할 때에는 발열검사, 손 소독, 방문 기록 작성 등의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윤 반장은 “6월 중 개장하는 해수욕장을 대상으로 방역 지침을 시범 적용해 잘 실행되는지 집중 모니터링하고, 코로나19 발생과 확산 추이를 감안해 해수욕장 지침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