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박문칠 우석대 교수, '전주국제영화제' 수상 후보 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위안부 피해자 고 김순악 할머니 삶 다뤄

다큐멘터리 작품 '보드랍게' 출품

뉴시스

[완주=뉴시스]윤난슬 기자 = 우석대학교 박문칠(미디어영상학과) 교수.(사진=우석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완주=뉴시스] 윤난슬 기자 = "이 영화는 고인인 김순악 할머니를 포함한 '위안부' 피해자들의 삶을 자세히 알아가는 과정을 담았습니다."

유수 영화제에서 뜻깊은 작품을 선보이며 굵직한 상을 받아온 우석대학교 박문칠 교수가 이번에는 위안부 피해자 고 김순악 할머니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보드랍게'를 전주국제영화제에 출품하며 수상 후보에 올라 화제다.

1일 우석대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대학 미디어영상학과에 부임한 박 교수는 영상 제작과 관련된 과목을 가르치며 학생들과 호흡하고, 학교 밖에선 주목받는 영화감독으로 탄탄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영화제 측은 "한 인물을 성스럽게 포장하거나 박제화하는 대신, 있는 그대로의 삶을 생생하게 기록했다"며 "경북 사투리로 고 김순악 할머니의 증언을 낭독하거나 애니메이션과 아카이브 영상 등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연출한 작품'"이라고 평했다.

영화전문지 씨네21도 올해 전주국제영화제 추천작 중 하나로 이 작품을 꼽기도 했다.

박 교수는 "대구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이라는 단체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록하는 작업을 제안받아 책과 증언집, 할머니의 생전 모습을 담은 영상들을 살펴보다가 김순악 할머니의 사연이 눈에 들어왔다"고 영화 제작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만큼 그의 삶이 극적이라 연출이 개입하거나 그의 삶을 포장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고, 받은 느낌을 그대로 관객에게 전달하면 되겠다 싶었다"고 덧붙였다.

영화는 컷 중간중간 애니메이션과 여성 활동가들의 생생한 증언과 낭독을 통해 고인의 삶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했다.

이처럼 박 교수는 그동안 독립영화 현장에서 다양한 작업을 펼치며 2013년 가족의 역이민을 다룬 사적 다큐멘터리 '마이 플레이스'를 완성했다.

전주국제영화제 관객평론가상과 서울독립영화제 심사위원상, 다수의 영화제에서 관객상을 받았으며, 북미 최대 다큐멘터리 영화제인 캐나다 핫 닥스(Hot Docs) 영화제에 초청되기도 했다.

2017년에는 성주 사드 배치 반대 투쟁에 참여했던 젊은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 '파란 나비효과'를 제작·연출했다. 이 작품으로 전주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상을 받았고, 전국 40여 개 영화관에서 개봉했다.

이어 작년에는 10주년을 맞은 대구 지역 퀴어퍼레이드를 다룬 단편 다큐멘터리 '퀴어 053'으로 대구 단편영화제에서 우수상을 차지, 내놓는 영화마다 작품성을 인정받으며 '믿고 보는 다큐멘터리 감독'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박 교수는 "따뜻한 선배 같은 교수이자 창작을 게을리하지 않는 감독이 되고 싶다"며 "사회 속의 개인, 개인의 삶 속에 깃든 사회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다큐멘터리 작업에 매진하며, 학생들과 늘 가까이 호흡하는 교육자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ns4656@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