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예금금리 이번 주 인하… 우대금리 합쳐 고작 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한국은행 앞.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0.50%로 0.25% 포인트 내리면서 주요 시중은행들은 이르면 이번 주 예적금 금리를 낮춘다. 이에 따라 주요 은행의 1년 만기 기준 예적금 상품 금리는 우대금리를 합쳐야 1%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31일 “이르면 이번 주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해 예적금 금리를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주요 시중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연 1%에도 못 미친다. KB국민은행의 대표 예금인 ‘국민수퍼정기예금’은 연 0.9%, 신한은행 ‘신한S드림 정기예금’ 연 0.9%, 우리은행 ‘우리수퍼주거래정기예금’ 연 0.7%, 하나은행 ‘하나원큐 정기예금’ 연 0.8%, NH농협은행 ‘NH포디예금’이 연 0.95%다.

초저금리 시대에 상품 금리가 떨어지면서 은행들은 수익성 악화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지만 자금 이탈이 빨라질 수 있어 시장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분위기도 있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서로 눈치를 보는 상황”이라며 “한 곳에서 먼저 예적금 상품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하면 다른 은행들도 연이어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3월 한은이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내린 이후 시중은행은 약 한 달에 걸쳐 예적금 상품의 금리를 0.1~0.4% 포인트 내렸다.

예적금 금리만큼의 인하 속도는 아니지만 대출금리도 내린다. 신규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대출금리는 오는 15일 이후 서서히 금리 인하가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6~7월이면 신규 코픽스 변동금리에 고객들이 체감할 만한 실질적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며 “시중 금리 추가 인하가 이뤄지면 지난해 정부가 내놓은 서민형 안심전환대출과 비슷한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하루 또는 주 단위로 움직이는 주택대출 혼합형(5년 고정 이후 변동금리)은 6월 1일 기준 국민은행이 연 2.22~3.72%, 신한은행 연 2.57~3.58%, 우리은행 연 2.68~4.09%, 하나은행 연 2.287~3.587%, 농협은행 연 2.14~3.55%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