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유엔도 인정한 현대백화점그룹의 친환경 경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百그룹 6개 계열사, UN ‘글로벌 친환경 가이드라인(GRP)’ 획득

현대백화점그룹의 친환경 노력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모범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현대홈쇼핑이 ‘아이스팩 재활용 캠페인’을 통해 유통업계 최초로 대통령 표창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는 그룹 내 6개 계열사의 친환경 활동이 유엔(UN·국제연합)으로부터 우수 모델로 선정됐다.

현대백화점그룹은 현대백화점·현대홈쇼핑·현대그린푸드·현대리바트·한섬·에버다임 등 계열사 6곳이 유엔이 선정한 글로벌 친환경 가이드라인 ‘GRP(Guidelines for Reducing Plastic waste) 인증’을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는 GRP 인증 최우수 등급인 ‘AAA’를, 나머지 계열사 4곳은 우수 등급(AA)를 받았다.

올해 처음 도입된 GRP 인증은 기후변화 대응과 플라스틱 폐기물 저감에 앞장서는 우수 기업을 선정해 친환경 활동을 인증하는 글로벌 친환경 가이드라인이다.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기구인 ‘유엔 SDGs협회’가 선정해 발표한다.

유엔 SDGs협회는 올해 초부터 국내에서 친환경 경영을 실천 중인 40여 기업을 대상으로 친환경 활동에 대한 글로벌 평가를 진행했으며, 그 중 글로벌 친환경 모델을 보유한 기업 10곳을 GRP 우수 기업으로 인증했다.

김정훈 유엔 SDGs협회 사무대표는 "현대백화점그룹은 이번에 GRP 인증을 받은 전체 기업 10곳 중 절반 넘는 6개 계열사가 인증을 획득했다"며 "앞으로 국제사회에서 현대백화점그룹의 친환경 노력이 더 큰 관심과 주목을 받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조선비즈

현대홈쇼핑이 진행하고 있는 '아이스팩 재활용 캠페인'. /현대백화점그룹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 GRP 인증 최우수 등급(AAA)을 받은 현대백화점은 친환경 패키지 개선을 통해 유해 물질을 감소시킨 점을 인정받았다. 올해 들어 모든 플라스틱 소재 포장재를 종이 소재로 바꿔나가는 ‘올 페이퍼 패키지’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또한 고객이 온라인몰에서 주문한 상품을 배송할 때도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70톤(t)의 플라스틱과 50t의 스티로폼 사용을 줄일 계획이다.

현대그린푸드는 단체 급식에 사용되는 식재료에 저탄소 인증을 받은 농산물 사용을 확대해 온실가스 감축을 실천 중이다. 올해만 약 50억원 규모의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사용할 예정이다.

현대홈쇼핑과 현대리바트는 친환경 포장재를 도입해 호평을 얻고 있다. 현대홈쇼핑은 조립만으로 밀봉이 가능한 친환경 배송 박스(핑거박스)를 도입해 접착제 사용을 줄이고 있으며, 현대리바트는 가구 포장에 사용되는 스티로폼을 대체할 완충재로 100% 재생 종이(허니콤)를 사용하고 있다.

한섬과 에버다임은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한섬은 타임·래트바이티 등 브랜드에서 재활용 소재의 원단을 활용한 니트, 셔츠 등을 출시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에는 사과 껍질을 재활용해 만들어진 ‘비건(vegan) 가죽’을 적용한 신발(애플스킨 스니커즈)을 선보였다. 비건 가죽은 동물 가죽이나 털 대신 합성 피혁이나 과일 껍질 등의 대체 소재가 적용된 가죽을 의미한다. 에버다임은 기존에 사용하던 수소불화탄소(HFCs) 소화 설비를 물과 소화폼 용액을 혼합해 화재를 진압하는 ‘무동력식 압축공기포 소화설비’를 개발했다.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는 물질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특히 올해 들어 현대백화점그룹 전체 계열사에서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소재 포장재 사용을 줄이는 ‘그린 패키지Green Package)' 프로젝트를 전개하고 있다. 내년까지 연간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량 393t, 스티로폼 포장재 사용량 66t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현대백화점그룹은 목표대로 프로젝트가 진행될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00여t 줄이게 돼, 30년산 소나무 16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용선 기자(brav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