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로봇이 온다

양치기에 도전하는 로봇개...이름값 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질랜드 초원서 실험...미국서 원격 조종

“세계 어디서든 로봇개에 명령할 수 있어”


한겨레

양떼몰이에 나선 로봇개 스팟. 양들이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다.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양떼가 흩어지지 못하도록 따라다니며 감시하는 양치기 개(목양견)의 일도 로봇이 대신할 수 있을까?

지난해부터 다양한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 로봇개 `스팟'이 이번엔 드넓은 목장에서 양떼몰이를 하는 일에 도전했다. `개'라는 이름을 부여받은 로봇에 걸맞은 일을 찾아 나선 셈이다.

스팟 제조업체인 미국의 보스턴다이내믹스는 로봇 운영 플랫폼 개발업체인 로코스(Rocos)와 손을 잡고 뉴질랜드 목장에서 로봇개 스팟이 양떼를 감시하는 임무를 최근 실험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실험은 보스턴다이내믹스 미국 본사에서 로코스의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해 원격으로 진행한 점이 특징이다.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원칙적으로 세계 어디에서든 로봇개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로코스는 밝혔다.

로코스가 최근 공개한 영상에서 로봇개 스팟은 뉴질랜드 농촌의 과수원, 비탈길, 돌멩이가 널린 냇가 등을 능숙하게 돌아다니는 능력을 보여줬다.

한겨레

양떼 앞으로 접근하는 로봇개 스팟.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운영 시스템의 장점은 로봇개 스팟이 현장에서 수집한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 피드백할 수 있다는 점이다. 로코스는 “이를 이용할 경우 에너지 부문에서는 과거 기록과 비교해 즉각 이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농업에서는 농부들이 좀 더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수확량을 추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로코스는 “이는 자동화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좀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일 처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겨레

비탈길도 능숙하게 오르내린다.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코스의 데이비드 잉스 대표는 또 새로운 플랫폼을 이용하면 아무리 많은 로봇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수동으로 로봇을 원격 조종하는 것뿐 아니라 로봇의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필요하면 임무를 재설계할 수 있으며,로봇 간에 서로 다른 임무도 부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두 회사는 로봇개와 원격 관리 시스템을 결합하면 일손이 크게 부족한 농업 부문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스팟은 그동안 건설 공사장 순찰을 시작으로 석유 시추 현장 모니터링, 폭발물 처리반의 현장 감시, 병원의 이동형 원격진료 플랫폼에 이어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홍보 안내 방송 등의 활동에 투입돼 왔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뉴스판 한겨레21 구독▶시간극장 : 노무현의 길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