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디젤게이트에 위기 빠진 '독일차'…미국·전기차 약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입차 시장이 또다시 격동기를 맞이하는 분위기다. 벤츠마저도 '디젤 게이트'에 휘말리며 독일차 독주에도 안개가 끼는 사이, 테슬라와 쉐보레 등 미국차들이 전기차와 신차 공세로 약진하면서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21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메르세데스-벤츠 등 3사 법인 및 대표자를 대기환경보전법 위반과 사기 등 혐의로 고발했다.

3사가 배출가스를 조작한 디젤 차량을 판매해 수백에서 수천억원 불법 이익을 얻었다는 이유다. 우리 제도와 법규를 무시하고 소비자를 우롱한 것은 물론, 국민 건강과 자연환경을 훼손한 비윤리적인 범죄 행태라며 강한 비판도 덧붙였다.

'디젤게이트'가 다시 시작된 셈이다. 앞서 환경부는 이달 초 3사가 국내에 판매한 차량 14종에 배출가스 불법 조작을 적발하고 인증 취소와 리콜명령 및 과징금 부과와 형사고발을 조치한 상황이다. 닛산·포르쉐와는 달리, 벤츠는 이번에 새로 '디젤게이트'에 포함됐다.

벤츠코리아는 일단 불복 입장을 밝혔다. 해당 기능이 활발한 배출가스 정화를 보장하는 통합 배출가스 제어 시스템 일부에 불과하다며, 각 기능을 개별 분석한 환경부 조사에 이의를 제기한 것.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단 벤츠의 제재 대상 차량은 유로6 기준모델로, 현재 판매 중인 차량은 아니다. 때문에 판매가 중지된 차량도 없다.

그러나 벤츠가 판매량에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과거 폴크스바겐이 디젤게이트에 휘말렸을 당시 브랜드 도덕성 문제로 수년간 판매량을 회복하지 못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벤츠는 수입차 시장을 수년째 독주하고 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 들어 4월까지 누적 수입 승용차 판매량은 7만7614대. 이중 벤츠가 2만2145대로 28.5%를 점유 중이다.

벤츠의 악재는 '독일차 전성시대'에까지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가별로 차량 브랜드를 인식하는 소비자 인식이 이유로 꼽힌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 소비자는 브랜드 만큼이나 브랜드의 국적을 중요시한다"며 "벤츠가 그동안 독일차 위상을 지켜냈지만, 디젤게이트에 휘말리면서 독일 자동차 전체가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가파른 전기차 인기도 독일차에는 악재다. KAIDA 회원사가 아니라 해당 통계에는 잡히지 않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테슬라의 올해 1분기 판매량이 4070대에 달했다. 같은 기간 수입차 시장 3위에 해당하는 실적이다.

KAIDA 통계만으로도 전기차 판매량은 4월 누적 1153대, 전년 동기(325대)보다 254.8% 성장률을 나타냈다. 쉐보레 볼트EV가 매달 300대 이상 판매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국내에 판매되는 독일산 완전 전기차는 2종에 불과하다. 벤츠가 최근 출시한 EQC와 BMW i3다. 폴크스바겐이 올해 ID3를 글로벌에 출시할 예정이지만, 국내에는 올해 안에 내놓을 계획이 없다.

미국차 약진도 독일차에는 위협이다. 미국 브랜드인 포드와 캐딜락이 부진하긴 했음에도 미국차 판매량은 4월 누적 1만524대로 전년 동기(6616대) 대비 59.1%나 급성장했다. 테슬라까지 합하면 3배에 가까운 판매 신장이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쉐보레가 KAIDA 회원사에 등록한 영향이다. 콜로라도와 트래버스를 통해 수입차 시장 다크호스로 떠오르며 4월까지 누적 판매량 4943대로 3위를 차지했다. 포드와 캐딜락도 올 들어 신모델 출시를 가속화하면서 미국차의 진가를 알리고 나섰다.

변수는 코로나19다. 업계에 따르면 독일차를 포함한 유럽 브랜드는 국내에 충분한 물량을 들여올 준비를 끝마친 상태다.

반면 미국에서 들어오는 물량에는 일부 차질이 발생한 상황이다. 당장 테슬라 차량 인도량이 바닥으로 떨어졌고, 그 밖에 브랜드도 종전과 같이 넉넉한 물량을 들여오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 주문량을 충족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