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부산, 수산분야 포스트코로나·한국판 뉴딜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이 수산분야 '포스트 코로나'와 '한국판 뉴딜'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부산시는 20일 오전 10시 30분 시청 12층 소회의실에서 지역 수산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수산분야 포스트 코로나, 한국판 뉴딜 대응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고 19일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로 인해 위축되고 있는 수산물 수출, 소비, 생산 등 각 분야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다.

이날 회의는 박성훈 부산시 경제부시장 주재로 박극제 부산공동어시장 대표이사, 서만석 부산명품수산물협회 회장, 조영택 수산가공선진화단지 입주기업협의회 회장, 이충근 부광F&B 대표이사, 김형광 늘푸른바다 대표, 김기태 부산시수협 상임이사, (사)부산스마트양식클러스트사업단 등 근해업계, 연안어업, 수산유통가공업계, 양식업 등 업계 대표와 수산분야 전문가(KMI, BDI) 등이 참석한다.

지역 수산업계는 최근 고령화, 수산자원 감소, 한일어업협정 결렬 장기화 등으로 수산업 여건이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코로나19라는 국가적 위기를 맞아 소비심리 위축, 어가하락 등으로 경영난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제1의 수산도시 부산의 위상 회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동안 부산시는 코로나19에 따른 수산업계 피해 최소화와 경영 안정화를 위해 대형선망업계 긴급경영자금 지원, 수산정책자금 대출금리 한시적 감면 요청 등을 정부 추경에 지속 건의했다. 소통과 현장 행정 강화를 위해 관련 기업과 어촌계 등 현장방문을 통해 애로사항도 직접 챙겨왔다.

무엇보다 수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포스트 코로나 수산분야 위기대응 계획'을 수립해 지난 12일 해양수산부에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 추진과 연계를 건의하는 등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부산시는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수산물 소비촉진 시책도 펼치고 있다.

지난달 수산식품 판로확대 특판행사를 시작으로 수산물 급식챌린지 캠페인, 부산명품수산물 온라인 판매 지원, 수산물 소비촉진 할인행사 등을 꾸준히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산업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소비행태 변화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 확대, 홈코노미 가속화로 가정간편식 소비 급증에 따른 고부가가치 수산가공식품 개발, 수산물 유통단계 위생 안전체계 구축, 수산식품 온라인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유통플랫폼 구축 등도 병행 추진하기로 했다.

박 부시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개최되는 부산시와 수산업계 간 소통의 출발점으로 큰 의미가 있다"면서 "포스트 코로나 이후 사회·경제적 변화를 전망하고 한국판 정부뉴딜 대응 등 수산분야의 중장기 전략을 논의하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이번 수산업계 간담회에 이어 해운항만물류 업계 등 다양한 분야의 목소리를 담아낼 소통의 장을 꾸준히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분야별 정책 여건을 세밀히 검토해 코로나19라는 세계적 위기 속에서도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각 분야의 힘을 모아 나갈 계획이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