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2020 지자체 평가] 코로나 대응 빛난 용인시 2위… 학교사회복지사가 ‘돌봄 사각’ 학생들 찾아 건강ㆍ학습관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스크ㆍ맞춤형 학습지 등 담은 ‘토닥토닥 키트’ 전달

교육 행정서비스 15→2위… 재정역량 2위로 두 계단 올라
한국일보

어버이날인 지난 8일 백군기 경기 용인시장이 시장실을 찾은 상록어린이집 원생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용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 용인시 용마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유민지 학교사회복지사는 지난달 24~29일 학생 25명의 가정을 찾아 컵밥, 보건용 마스크, 손 세정제, 영양제 등이 들어있는 ‘토닥토닥 키트’를 전달했다. 이 키트에는 학생의 학력 수준을 고려해 만든 맞춤형 학습지와 책도 담겼다. 유 복지사는 학생들이 원격수업을 잘 듣고 있는지, 건강이나 집 위생 상태는 괜찮은지도 확인했다.

유 복지사는 “전교생 730명 중에 돌봄 사각지대에 놓여있을 우려가 있거나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 등을 담임교사와 함께 가정 방문 대상으로 선정했다”며 “그 중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아버지나 어머니가 실직하거나 입원한 가정도 포함됐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들의 원격수업 진행률(참여율)과 과제 수행 여부를 교사들이 하나하나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정 방문을 통해 그 부분을 중점적으로 파악했다”며 “등교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다섯 가정 정도를 더 방문해 학생들이 잘 지내고 있는지 살펴 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용인시가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 학교사회복지사업이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 현장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사회복지사를 학교에 상주시켜 학생ㆍ학부모 상담, 학습 지원 등을 하는 이 사업은 용인시의 대표적인 교육복지사업이다. 해마다 6개교를 선정해 추진하는데,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등교 수업이 미뤄지면서 대면 상담과 학습지원을 카카오톡이나 가정 방문 상담, 손 편지 보내기로 대신하고 있다.

용인시는 올해 교육지원 예산 784억원(본예산 기준)을 편성했다. 이중 87.2%를 교육복지 사업에 투자한다. 중ㆍ고등학교 신입생 교복구입비 지원에 18억9,000만원, 초등학교 학습 준비물 지원에 14억4,000만원을 각각 투입했다. 학교 노후시설 개선에 99억7,000만원을, 미세먼지에서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실내체육관 건립과 증축에 36억2,000만원, 공기청정기 지원에 8억7,000만원을 각각 쓴다. 초중고 187곳 중에 현재 실내체육관이 없는 곳은 30곳인데, 21곳은 건립이 진행 중이다. 나머지 9곳은 폐교가 예정됐거나 대체시설이 있는 경우다.
한국일보

경기 용인시 신갈중학교에서 근무하는 양은영 학교사회복지사가 지난달 23일 한 학생 가정에 보건용 마스크와 학습보충자료 등이 들어있는 상자를 전달하고 있다. 용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용인시가 인구 50만 이상 시 경쟁력 평가에서 성남시에 이어 2위에 오른 것은 교육과 보건복지 행정서비스 영역 순위 상승에 탄탄한 재정역량이 더해진 결과다.

보건복지 지역경제 문화관광 안전 교육 5개 행정서비스 영역 중에 교육부문이 지난해 하위권에서 올해 2위로 수직 상승했고, 보건복지부문은 하위권에서 6위로 뛰어올랐다. 다만 다른 영역에서 순위가 하락하면서 행정서비스 전체 순위는 전체 5위에서 6위로 한 단계 내려 앉았다. 재정역량은 지난해 전체 4위에서 올해 2위로 두 단계 올랐는데, 노력도에서 1위에 오른 영향이 컸다.

용인시는 SK하이닉스 유치 등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따른 세입 확대 기반 마련, 편리한 교통 조성과 기흥역세권 개발 등으로 인한 인구 유입 증가와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따른 세수 증가 등이 재정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지방채 미발행, 재정 상태에 맞는 우선 순위별 사업 추진, 행사성 사업 축소 등의 노력도 더해졌다.

백군기 시장은 “지역 여건과 주민 수요에 부합하는 근린공원 조성과 마북천 정비, 탄천길 조성, 방범용 폐쇄회로(CC)TV설치, 도로 확충 등의 생활밀착형 사회간접자본 시설에 투자 할 것”이라며 “미래세대를 위해 도서관 신축, 학교급식, 교육경비를 지원하는 등 시민을 위한 행정에 온 힘을 쏟겠다”라고 했다.

이환직 기자 slamhj@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