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이용해 안전한 자율주행 환경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라온시큐어가 세종특별자치시의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자율주행자동차 신뢰 플랫폼 구축 시범 사업'을 수주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0년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의 일환이다. 세종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자율주행차의 도심 운행 및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수집해 자율주행차의 안전 운행 환경을 마련하고 부가서비스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라온시큐어는 이번 사업에 라온화이트햇, LG 춘, 언맨드솔루션과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했다. 'V2X(Vehicle To Everything)'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분산ID(이하 DID) 인증 플랫폼 구축과 전문 화이트 해커 그룹을 통한 보안 검증을 제공한다.

세종시 블록체인 기반 자율주행차 신뢰 플랫폼은 라온시큐어의 '옴니원(OmniOne)'과 LG CNS의 '모나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다. 옴니원은 글로벌 DID 기술 표준 수립 및 서비스 호환성 확보를 위해 국내외 7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DID얼라이언스의 핵심 구동체다.

파이도(FIDO) 생체인증과 DID 기술이 적용된 옴니원은 자율주행 서비스가 시작되는 지점인 이용자와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인증을 제공한다. 중앙 서버나 관제 센터를 통한 단일 인증이 아니라 자율주행 구성 요소들간의 통신 시 상호 인증 방식을 적용했다. 각 노드 및 구성간 통신에 대한 해킹 위협을 방지하고 장애 없는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이 라온시큐어 측 설명이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DID 인증 기반 자율주행차 신뢰 플랫폼 구축 사업은 사물인증에 대한 실질적인 첫 모델을 제시한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라온시큐어의 파이도 생체인증과 DID 기술 역량으로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 사물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를 공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