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블룸버그의 경고…"한국 국가채무, GDP의 50% 될 수도"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 한국의 국내 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내년에 50%까지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앙일보

국가채무 추이(중앙·지방정부).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7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은 -0.1%로 예상됐다. 이 경우 국가 채무비율은 GDP 대비 44%로 분석됐다. 가능성이 가장 큰 전망(기본 시나리오)대로 되면 내년 한국 성장률은 3.3%, 국가 채무 비율은 46%가 될 것으로 BI는 내다봤다. 지난해 한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38% 수준이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이 장기화하면 국가채무 비율이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BI는 우려했다. 분모인 성장률은 낮아지고, 분자인 채무가 늘어나면 국가채무 비율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장기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올해 성장률은 -1.4%, 국가 채무 비율은 46%로 전망됐다. 내년에는 성장률이 2.1%에 그치고, 채무 비율은 50%가 될 것으로 BI는 전망했다.

BI는 "문재인 정부 임기가 끝나는 2022년 말까지 성장 모멘텀을 지키기 위해 완만한 재정 확장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몇달 안에 연 0.50%로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일보

14일 더불어민주당 혁신포럼에 강연자로 나선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왼쪽).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은 지난 14일 더불어민주당 혁신포럼 강연에서 "재정 건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국채 발행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국채 발행을 통해 적극적인 재정 정책으로 GDP를 늘리면, 채무 비율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확장 재정으로 GDP 성장률 하락을 막고 버티기를 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확장 재정의 효과를 담보하지 못하면 빚만 늘어 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다. 적자 국채까지 발행해 마련한 재난지원금을 둘러싼 소비 효과 논란이 대표적이다. 성장률을 높이려면 무조건 재정을 풀기에 앞서 규제 완화, 법인세 부담 축소 등을 통해 기업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끊이지 않고 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미국 경제 성장률이 한국보다 높은 이유 중 하나는 적극적인 감세 조치"라고 지적했다.

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