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한국 국가채무비율, 코로나 대응에 내년 50% 달할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경제 충격이 장기화하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내년에 50%로 높아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제시됐습니다.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는 시나리오에서 올해 한국의 GDP는 1.4% 감소하고 추가 부양책으로 재정적자가 더 늘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BI는 이 경우 한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지난해 약 37%에서 올해 46%로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내년에는 경제가 2.1% 성장하되 정부가 다소 확장적인 정책을 펴면서 국가채무비율이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올해 GDP가 0.1% 감소하는 기본 시나리오에서는 올해 국가채무비율이 44%를 기록하고 내년에는 성장률이 3.3%로 회복되면서 국가채무비율이 46%를 기록할 것으로 봤습니다.

BI는 "문재인 정부가 임기가 끝나는 2022년 말까지 성장 모멘텀을 지키기 위해 완만한 재정 확장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국은행의 통화정책도 이를 뒷받침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75%에서 몇달 안에 연 0.50%로 내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친절한 애리씨' 권애리 기자의 '친절한 경제'
▶ '스트롱 윤' 강경윤 기자의 '차에타봐X비밀연예'
▶ 공연 담당 김수현 기자의 '방콕에 지친 당신을 위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