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상암에서 자율주행차 타보세요" 서울시 실증사업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는 상암 문화광장(MBC 앞)에서 마포구, 서울기술연구원, 9개 기업대학 등 민간과 함께 '자율주행 모빌리티 실증' 시작을 알리는 발대식을 12일 열었다.

발대식에는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 유동균 마포구청장, 고인석 서울기술연구원장 등 주요 인사와 함께 LG유플러스, 언맨드솔루션, 콘트롤웍스 등 자율주행 관련 7개 기업과 연세대, 한양대 등 2개 대학교 등 9개 기관 대표가 참석했다.

금번 자율주행 모빌리티 실증에 참여하는 기업과 대학은 혁신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의 산업화를 지원하는 '테스트베드 서울' 사업 등을 통해 선정되었다.

시는 지난해 6월 국토부와 함께 상암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를 조성했다. 9월부터는 25개 산학연과 함께 도심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자율주행 차량을 시범 운행 중에 있다.

시가 발대식을 계기로 선보일 '자율주행 모빌리티'는 지금까지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차량의 일시적인 시범 운행이 아니라, 실제 도심도로의 무대에서 시민이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로 부르면 오고 목적지까지 이용하는 언택트(비대면) 공유차량서비스를 비롯해 △스마트폰 터치 한번 한번으로 차량 스스로 주자창과 빈 주차면을 찾아 주차걱정을 해결 해주는 대리주차(발렛파킹) △지역을 순환하면서 교통약자 등을 실어 나르는 소형 셔틀버스 △차량이 다니지 못하는 지역에서도 원하는 장소로 물류를 운반하는 배달로봇 등이다.

시는 모빌리티 실증을 위해 민간과 함께 상암지역에서만 자율주행 차량 10대(버스 3대, 승용차 4대, 배달로봇 3대)을 투입하고, 통제되지 않는 복잡한 도심의 실제 도로에서 실증을 펼친다.

시는 보다 안전한 실증을 위해 차량무선통신망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에 0.1초 단위로 신호등 색상과 언제 신호가 바뀌는지 잔여시간까지 제공하여 신호등인식 비전센서 오류 등에 사고발생 예방을 지원한다.

딥러닝 영상검지 등 촘촘한 C-ITS 인프라를 통해 자율주행 센서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 무단횡단 보행자, 사고 등 각종 위험상황을 전달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한 실증 환경을 제공한다.

시는 다음달 16일부터 신청만 하면 상암 지역을 순환하는 자율주행 셔틀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6월 8일부터 서울 교통정보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셔틀버스는 월요일을 제외한 주6일 동안 총 54회에 걸쳐 디지털미디어시티역~누림스퀘어~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순환하는 경로(3.3km)를 운행한다. 시는 향후 시민들의 호응이 높아지면 주당 운행 횟수를 총 108회까지 늘린다는 복안이다.

공유차량, 대리주차, 배달로봇 등도 시민 체험단을 공개 모집해 시민들이 직접 이용하면서 서비스까지 평가하는 “시민참여형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서울은 현재 세계 최고의 대중교통 도시에서 무인드론택시, 퍼스널모빌리티(PM), 자율주행 등을 가장 앞서 상용화시켜 세계시장에 표준을 제시하는 언택트 모빌리티 플랫폼 혁신 도시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12일 서울 상암에서 열린 자율주행 모빌리티 발대식에 전시된 자율주행 차량들. 사진=서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