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韓銀, 물가 전망치 낮춘다…커지는 'D의 공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8일 수정경제전망에서 물가 전망치 하향조정

1.0% 전망치, 코로나19·저유가로 조정 불가피

정부 "일시적 요인…디플레 아닌 디스인플레이션"

해외선 코로나19 이후 인플레 우려도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한국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를 반영해 올해 물가 전망치를 낮춘다.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1% 오르는 데 그쳤고, 다음 달엔 마이너스 물가를 기록할 가능성도 있어 우리 경제가 '디플레이션(Deflation)'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12일 한은 등에 따르면 오는 28일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연간 물가 전망치가 하향 조정될 예정이다. 지난 2월 코로나19가 해외로 확산하기 전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가 전년비 1.0%, 근원물가는 0.7%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로 수요가 위축되고,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을 반영하면 물가 하향조정은 불가피하다. 연간 경제 성장률 역시 하향 조정된다.


이미 한은은 여러 방법으로 시장에 메시지를 줬다. 우선 지난달 9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근원인플레이션율은 2월 전망치를 상당 폭 하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날 금통위에선 국내총생산(GDP)갭이 2000년대 들어 가장 큰 마이너스 폭을 보일 것이란 얘기도 나왔다. GDP갭은 잠재GDP와 실질GDP의 차이로, 경기의 과열 또는 침체 상태를 보여주는 척도다. GDP갭이 마이너스 값이면 수요가 공급을 밑도는 디플레 압력이 더하다는 의미다.


코로나19 이전부터 저물가 문제는 있었다. 저물가 현상은 세계적으로 나타난 '뉴 노멀(New Normal)', 저성장ㆍ저물가ㆍ저금리 기조 중 하나이기도 하다. 4차산업 발전과 글로벌라이제이션(세계화)이 대표적 원인으로 꼽힌다. 기술이 발전하며 생산ㆍ배송비용이 저렴해지고 경쟁이 심화하며 가격이 떨어졌다는 논리다. 선진국 반열에 접어든 한국의 성장률이 둔화된 것도 저물가의 원인이다. 여기에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슈가 더해지자 저물가가 장기화하고, 결국 일본처럼 디플레에 빠질 수 있다는 주장이 다시 힘을 받은 것이다. 한 번 디플레에 빠지면 통화정책을 아무리 동원해도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앞으로 물가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면 소비ㆍ투자가 저조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은과 정부는 현재 상황을 디플레로 보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단기적 수요 급락과 저유가가 원인일 뿐 흔히 말하는 디플레, 즉 '자산가격 붕괴로 인해 마이너스 물가가 상당기간 오래 지속되는 것'과는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신 일시적 저물가 상황은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으로 보는 것이 맞다는 주장이다.


한은이 1990년대 이후 주요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0년 1분기부터 지난해 2분기까지 각국에서 소비자물가 하락은 356회 발생했지만, 연속으로 분기 기준 마이너스를 기록한 기간은 약 2분기에 그쳤고 하락률도 -0.5% 수준이었다. 디플레가 나타난 곳은 일본 등에 국한됐고, 여기엔 항상 자산가격 조정이 수반됐다. 즉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급락하지 않은 현재 물가가 일시적 마이너스를 기록한다고 해서 디플레를 우려하긴 이르다는 얘기다.


김소영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마이너스 물가가 나온다면 디플레라고 말할 수밖에 없겠지만, 현재 물가하락 원인이 공급요인(유가하락)과 섞여 있기 때문에 일시적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코로나19 영향이 끝난 후에도 마이너스 물가가 지속된다면 그땐 정말 문제"라며 "부동산 가격이 함께 하락할 것인지도 지켜볼 부분"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외에선 막대하게 풀린 유동성이 오히려 코로나19 이후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원자재 부족, 와해된 공급망, 탈세계화 등이 인플레이션 회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보도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