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에선 사용 가능...점주 90% 이상 중소상인 마트도 온라인쇼핑도 안 돼..."대체 어디에 쓰라는 거죠?" 대면 접촉 줄이는 '생활 방역' 정부 지침과 배치 지적도
1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신용·체크카드 충전 신청이 9개 카드사를 통해 시작됐다.
긴급재난지원금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의 한시적인 지원제도다. 긴급재난지원금은 코로나19로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는 각 가계의 살림에 보탬이 되고, 소비를 진작해 경제 회복을 진작하는 게 목표다.
코로나19 여파, 소비자 물가 0% 상승세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0%대 상승세를 보이며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4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95(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0.1% 상승해 작년 10월(0.0%)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 중 농·축·수산물 가격은 1.8% 상승한 반면 공업제품은 0.7% 하락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의 한 대형마트의 농산물 코너. 2020.5.4 ondol@yna.co.kr/2020-05-04 10:37:35/Media Only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렇다 보니 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정해져 있다. 노래방, 스크린 골프, 마사지숍 등을 비롯해 복권방, 상품권·귀금속 판매점에서는 쓸 수 없고 세금이나 공공요금, 교통, 통신요금으로도 사용할 수 없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과 온라인 쇼핑몰, 대형마트, 백화점, 가전제품 매장, 면세점도 마찬가지다. 소상공인과 지역 상권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조치다.
이와 달리 편의점에선 긴급재난지원금을 쓸 수 있다. 편의점 본사도 대기업이지만 매장의 90% 이상이 중소상인이 운영하는 가맹점이라는 점이 고려됐다. 소비자로선 마트나 백화점과 비교해 채소·과일 등 각종 식자재를 구매하기엔 선택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다.
대형 프랜차이즈의 경우 본사가 있는 지역의 주민들만 사용할 수 있다. 스타벅스를 예로 들면 스타벅스 본사가 서울에 있어 서울 사람은 재난지원금으로 스타벅스 커피를 즐길 수 있지만, 경북 사람은 스타벅스에서 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다.
윤종인 차관 '긴급재난지원금 약 280만 가구에 현금 지급'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긴급재난지원금 범정부 TF 단장)이 3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오는 4일부터 시급한 지원이 필요한 계층부터 긴급재난지원금 현금 지급과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2020.5.3 kjhpress@yna.co.kr/2020-05-03 14:25:07/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의 취지가 가장 어려운 곳에 돈이 돌게 해 내수를 활성화하는 것이라고는 하지만 국민이 일상을 영위하는 곳의 대부분이 빠져 불만이 나온다.
어르신들은 더 막막하다. 경기도 용인에 사는 박은경(64) 씨는 "정부가 주는 긴급재난지원금과 도와 시에서 주는 지원금 모두 대형마트에선 사용이 안 된다고 한다"며 "걸어서 롯데마트까지 2분 거리인데 마트는 안된다고 하니 어디에 가서 써야 할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유흥·사행 분야에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용하는 것은 안 되는 것은 당연하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과 온라인 쇼핑몰까지 막는 것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코로나19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사회적 거리 두기', '생활 방역' 등을 실시하며 외출을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배달·배송 등의 언택트 소비가 새로운 패턴으로 부상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은 바깥 활동과 대면 접촉을 독려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애신 기자 seodw@ajunews.com
임애신 seodw@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