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원내대표 이모저모

통합당 원내대표 경선 4파전…러닝메이트 지역안배로 견제구(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남 대 비영남'·'친박 대 비박' 등 후보 간 구도 윤곽

초선들 '토론회' 요구에 일부 후보 화답…인물·비전 경쟁도 관건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경선 4파전 (서울=연합뉴스) 오는 8일 실시되는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경선이 후보등록을 앞두고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지는 등 4파전으로 압축됐다. 왼쪽부터 원내대표에 출마하는 주호영, 김태흠, 이명수 의원, 권영세 당선인. 2020.5.5 [연합뉴스 자료사진 ] photo@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방현덕 이은정 기자 = 미래통합당의 21대 국회 첫 원내대표 후보군이 4명으로 압축되면서 지역·계파 등을 중심으로 한 경쟁 구도가 드러나고 있다.

경선일을 사흘 앞둔 5일 현재 원내대표 출사표를 던진 21대 당선자는 주호영 의원, 이명수 의원과 권영세 당선인, 김태흠 의원 등 4명이다.

후보 등록 마감일인 6일까지 '깜짝 후보'가 등장할 가능성은 적다는 게 중론인 만큼 이들 중 한 명이 총선 참패 이후 20일째 표류하는 통합당의 조타수를 잡을 전망이다.

판사 출신인 주 의원은 이번 총선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의 지역구 대구 수성갑에 '자객공천'됐다가 5선으로 생환한 인물이다. 2016년 비박계를 대표해 전당대회에 출마하기도 했고, 바른정당으로 넘어가 원내대표도 지냈다.

이 의원은 충청을 기반으로 한 옛 자유선진당 출신으로 18대 총선에서부터 내리 4선을 달성했다. 행정고시 출신으로 금산군수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충남도 행정부지사를 지내며 오랜 공직생활을 했다.

'공안 검사' 출신인 4선의 권 당선인은 2002년 16대 보궐선거를 통해 원내에 입성한 뒤 옛 한나라당 최고위원, 국회 정보위원장 등을 지냈다.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전 대통령 캠프에서 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실장을 맡았던 그는 2013∼2015년 주중대사를 역임했다.

김 의원은 후보 중 유일한 3선에 50대(57세)다. 1987년 대선 당시 김종필 전 국무총리를 돕는 청년조직에서 활동했다. 충남 정무부지사를 역임한 뒤 국회에 입성한 그는 옛 자유한국당 최고위원 등을 지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경선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지역별로 보면 주 의원(대구 수성갑)은 TK(대구·경북)를 비롯한 영남권을, 이명수(충남 아산)·김태흠(충남 보령·서천) 의원이 충청권을, 권영세(서울 용산) 당선인이 수도권을 대표하는 상황이다.

당선인 84명 중 67%인 56명이 영남권임을 고려하면 주 의원이 일단 지역적 우위를 점했다 볼 수 있지만, 러닝메이트인 정책위의장에 따라 지역 구도가 보완될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우선 권 당선인은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이 지역구인 3선 조해진 당선인을 정책위의장을 영입하며 영남, 특히 부산·경남(PK) 지역 의원들에 대한 구애에 나섰다.

주 의원도 충북 충주가 지역구인 3선 이종배 의원을 정책위의장으로 영입했다. 이는 이명수·김태흠 의원 등 충청권 후보에 대한 견제구인 셈이다.

이명수·김태흠 의원은 아직 자신의 정책위의장을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지역 안배 전략만 놓고 본다면 이들은 영남권 러닝메이트를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

계파로 보면 친박(친박근혜) 성향으로 분류되는 김태흠 의원, 역시 친박 성향인 권영세 의원에 맞서 TK이지만 비박(비박근혜)계인 주호영 의원, 계파색이 옅은 이명수 의원이 대립하는 형국이다.

다만 한 재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총선을 계기로 친박·비박과 같은 당내 계파는 사실상 의미를 잃은 상태"라며 "원내대표 인물 경쟁과 이들의 비전 제시에 표심이 갈릴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당선인 84명 중 절반에 가까운 40명을 차지하는 초선 당선인들 사이에서는 원내대표 후보의 자질과 비전을 직접 '검증'하겠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초선 의원 25명은 전날 입장문을 내고 8일 경선 전 후보자간 토론회를 열자고 제안한 상태다. 입장문에 이름을 올린 초선은 이날 27명으로 늘었다. 김태흠 의원은 이날 "당연한 요구"라며 공개적으로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토론회가 열릴 경우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전환 여부 등 지도체제에 대한 후보자별 청사진과 180석 거대 여당을 상대로 한 투쟁 전략 등이 표심을 가르는 중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bangh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