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쎄미시스코 "자율주행기반 무선 충전로봇 국책개발과제 선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초소형전기차 완성차 업체인 코스닥 상장사 쎄미시스코(대표 이순종)가 '자율주행기반 무선 충전로봇' 개발 국책개발에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국책과제명은 '전기차 충전서비스용 자율주행 기반 11kW급 유무선 충전로봇시스템 상용화 기술 개발'이다.

미국의 F사 및 한국의 E사 등에서 공급 중인 기존의 이동형 충전시스템은 유선충전 기능만을 장착하고 있는 반면, 이번 쎄미시스코에서 국책과제를 통해 개발하려는 자율충전로봇은 유선은 물론, 무선충전기능까지 가능한 자율주행기반 유무선 통합 충전로봇시스템이다.

다중시설의 주차장에서 충전이 필요한 차량을 스스로 찾아가 충전하는 자율충전로봇 개발은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최첨단 기술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전기 동력을 이용한 이동체제작기술, 충전이 필요한 차량을 스스로 찾아가게 할 수 있는 각종 AI기반 인식기술, 라이다, 카메라, 액추에이터 등을 장착한 자율주행플랫폼, 다른 차를 충전하게 해줄 충분한 용량의 배터리를 내장한 전원공급장치가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로봇팔, 무선충전패드 등 각종 첨단기술의 복합체라 할 수 있다.자율충전로봇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유선 급속 충전스테이션에서는 프리도킹 형태로 연결되며, 무선충전기능이 탑재된 전기차를 찾아가는 운영관리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

쎄미시스코가 주관하는 이번 국책개발과제에는 (주)만도, 플렉스파워, 한국자동차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및 성균관대 등이 참여기관으로서 각종 다양한 기술개발에 참여한다.

이순종 쎄미시스코 대표이사는 "이번 국책과제를 통하여 자율주행 기반 충전로봇을 개발하는 국책과제에 선정됨에 따라, 전기차제작업체로서 회사의 기술력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됐다"면서 "향후 관련 기술을 상용화해 세계적인 선도업체가 되는 것은 물론, 회사의 전기차사업에 대한 전망도 한층 더 밝아 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관련 기술의 확보로 전기차 관련분야는 물론 향후 서비스 로봇 분야에 대한 기술 확보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핌

ssup825@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