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 기준 1인당 실질 GDP는 물가 수준을 감안해 국민의 실제 구매력이 개선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PPP 기준 1인당 실질 GDP가 감소한다는 것은 국민의 생활수준이 실제로 나빠진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실제로 국민 삶의 질을 떨어뜨리라는 예측이 나온 것이다.
3일 IMF의 ‘4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PPP 기준 1인당 실질 GDP는 지난해보다 1.3%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만약 IMF의 전망이 맞는다면, ‘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5.8% 이후 22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하게 된다. 외환위기 이전에는 석유파동을 겪은 1980년(-3.2%)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있다. 한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2.2%)과 2009년(0.3%), 유럽 재정위기가 터진 2012년(1.9%)에도 PPP 기준 1인당 실질 GDP가 플러스(+)를 유지했다.
IMF는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 등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PPP 기준 1인당 실질 GDP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6.4%), 일본(-4.8%), 독일(-7.0%), 프랑스(-7.4%), 이탈리아(-8.9%), 영국(-7.0%) 등의 PPP 기준 1인당 GDP가 줄줄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국 중에서는 중국(0.9%)만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됐다.
IMF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보다 2020년에 훨씬 더 많은 국가가 PPP 기준 1인당 실질 GDP 감소를 경험할 것”이라면서 “2009년에는 전 세계 62.3%의 국가에서 PPP 기준 1인당 실질 GDP가 감소했지만, 올해에는 전 세계 90.3% 국가에서 PPP 기준 GDP가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중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