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원내대표 이모저모

민주 원내대표 후보 3인, 개헌 필요성은 공감…시기는 '후순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태년·전해철·정성호 "개헌 논의보다 국난극복 먼저" 한목소리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인 전해철(왼쪽부터), 김태년, 정성호 의원이 4월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제21대 국회의원 당선자(초선) 워크숍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호 기자 = 4·15 총선으로 180석을 거머쥔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헌법 개정과 관련한 언급이 이어지는 가운데 여당 원내사령탑을 노리는 김태년·전해철·정성호(기호순) 의원 모두 개헌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30일 나타났다.

다만 이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이 급선무인 만큼 개헌 검토는 후순위라는 신중한 입장이다.

김태년 의원은 지난 28일 국회에서 원내대표 출마 선언 후 기자들과 만나 개헌과 관련한 질문에 "언젠가는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개헌 시점에 대해선 "코로나19로 인해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기에 지금 당장 개헌 이야기를 해서 정쟁의 도구가 된다거나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경계했다.

김 의원은 "개헌을 말하는 분들도 당장 올해 하자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전해철 의원은 지난 29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개헌은 필요하다. 이미 대통령이 제안한 안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선후의 문제가 있다"며 "지금 개헌을 논하는 것은 도움도 안되고, 전혀 맞지 않는다"고 했다. 지금은 개헌보다는 코로나19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취지의 답변이다.

정성호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인터뷰에서 "1987년 개헌 이후 상황이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개헌 필요성은 있다"면서도 "올해는 코로나19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위기를 극복한 다음 국회 개헌특위를 만들어 야당과 협력해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며 "개헌을 여당이 독주해서는 안 된다. 180석이니까 20석 정도 추가해 개헌하면 되지 않냐고 하는데, 절대 안 된다"고 했다.

3명의 원내대표 후보가 현시점에 개헌론이 불붙는 데 대해 일제히 경계심을 보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섣부른 개헌론이 '코로나 국난 극복'이라는 총선 민의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초당적·범국가적 역량 결집이 필요한데, 개헌론이 코로나19를 비롯한 당면 현안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결집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다만 원내대표 후보들이 개헌 필요성에 공감하는 만큼 향후 당내 논의를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TV 제공]



앞서 이해찬 대표가 지난 20일 "개헌이나 검찰총장 거취 같은 이야기가 나오는데 현재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코로나 국난 극복"이라며 '개헌 금언령'을 내렸지만, 총선 후 당내에선 개헌 관련 언급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당권 주자로 꼽히는 송영길 의원은 지난 27일 "21대 국회에서 개헌 논의가 꼭 필요하다"며 대통령 중임제 등을 언급했다가 "개헌은 지금 논의할 단계는 아니다. 지금은 코로나19 대응에 집중해야 한다"고 해명한 바 있다.

이번 총선에서 당선된 이용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은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토지공개념을 빠르게 정착시켜 부동산이나 투기·개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21대 국회에서의 개헌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이 당선인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토지공개념 부분이 근본적으로 개헌 사안이라고 지적한 것으로, 지금 당장 개헌을 추진하자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당선인은 "권력구조 개편 등에 대해 아직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며 "그런 것들이 가닥 잡히고, 국난 상황이 어느 정도 수습이 된 이후에야 개헌 논의를 해도 하지, 지금은 전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d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