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원내대표 이모저모

[민주당 원내대표 후보 릴레이 인터뷰](1)김태년 “국회 상시 운영 체계 만들 것…야당과의 협치도 자신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21대 국회 첫 원내대표 선거에 나선 김태년 의원(55·4선·사진)은 29일 “성과를 내는 국회를 만들기 위해 일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일하는 국회법’을 1호 입법 과제로 추진해 국회를 상시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의원은 “일하는 국회의 시스템을 갖추면 야당과의 ‘협치’도 자연스럽게 이뤄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하면서 “국회가 ‘숙의’와 ‘결정’의 두 가지 기능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해 상시 운영 체계를 갖추게 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일하는 국회를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상임위별로 1개 정도인 법안심사소위원회를 법제사법위원회처럼 ‘1·2소위’ 등 2개로 늘리는 방안을 내놨다.

1년 전 원내대표 선거에서 고배를 마신 김 의원은 “이번엔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스스로 반성과 성찰의 시간을 가졌고, 의원들과 더 많은 소통의 시간도 가졌다”고 했다.

김 의원은 180석 거대 여당의 무게를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코로나19로 인해 닥쳐올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문재인 정부 후반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만들어내려면 경험이 있는 내가 가장 적임자”라고 자신했다. 문재인 정부 초반 민주당 정책위의장을 맡은 경험이 일하는 국회와 협치를 이끄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정·청 관계도 “정부와 청와대를 오가며 100회가 넘는 협의를 한 경험으로 이견을 조율해나가겠다”고 했다.

추진력이 강하지만 이 때문에 ‘독선적’이라는 평가도 있다. 그는 “오해”라고 부인하며 “정책위의장 활동 당시 당내 이견을 상당 부분 조정하며 작업을 했다. 그 과정에서 찬·반 양측의 얘기를 듣고 토론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겼다”고 했다.

비례위성정당 논란이 컸던 공직선거법은 “손보겠다”고 했다. “기형적인 제도를 그대로 둘 수 없다”는 이유 때문이다.

21대 국회에서 야당과의 관계에 대해선 “국정 운영의 파트너이자 협상의 동반자로 함께해 나가겠다”며 “강력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많은 협상을 해 봤기 때문에 자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03석(미래한국당 포함)에 이르는 미래통합당도 아주 큰 당이다. 빨리 통합당이 정비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박홍두·심진용 기자 phd@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