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1조원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예타 최종 통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1조974억원이 투입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


국토교통부는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 등 4개 부처가 공동추진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해 본격 추진하게 됐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친환경차 분야 R&D사업의 예타 통과에 이어 자율차 분야까지 대규모 R&D사업이 예타를 통과함에 따라 미래차에 대한 중장기 종합 개발 전략이 완성됐다고 국토부는 평가했다.


이번 사업은 오는 2021년부터 2027년까지 7년간 총 1조974억원을 투입, 추진한다. 자율주행 융합신산업 육성은 자동차-ICT-도로교통 융합신기술·서비스 개발 및 법·제도 개선, 표준화 등 융합생태계 기반마련을 통한 자율주행 융합신산업 발굴·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에따라 차량융합 신기술, ICT융합 신기술,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생태계 등 5개 분야 84개 세부과제를 진행한다.


이번 사업은 4개 부처가 긴밀한 협력을 토대로 한 범부처 사업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부처간 기획, 예산, 집행 등 전 단계에서 칸막이 없는 협업을 강화하는 ‘부처 매칭형 신협력모델’를 적용한다.


자율차 분야에 대한 핵심기술개발, 인프라, 실증, 서비스 뿐만 아니라 표준화, 법·제도 등까지 포함하는 종합적 패키지형 지원을 한다.


부처간 산발적·경쟁적 사업추진으로 인한 투자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부처간 실질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높여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개부처는 이번 사업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융합형 레벨4의 완전 자율주행 기반 완성을 위해 차량융합 신기술, ICT융합 신기술,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서비스창출 및 생태계 구축 등 5개 분야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사고발생 제로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위한 영상 인식·처리 기술, 차량 플랫폼 기술, 차량 부품·시스템의 평가기술 등을 개발하는 차량융합 신기술을 개발한다.


자율주행의 안전을 강화하고 지능을 고도화하기 위해 ‘차량-엣지-클라우드’ 구조를 활용해 데이터 처리, 차량통신·보안, 자율주행 AI SW 등을 포함한 ICT융합 신기술을 개발한다.


도로나 교통안전시설 등의 교통인프라 정보와 자율주행 기술을 연계해 안전한 자율주행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도로교통융합 신기술을 개발한다.


대중교통 자율주행 신산업 창출과 교통약자 이동지원과 같은 자율주행 서비스를 개발한다.


자율주행 생태계 기반 완성을 위해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과 표준화 기반 확보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법·제도를 개선하는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을 지원한다.


한편 4개 부처는 범부처 협의체를 상시화하고, 효율적인 사업 통합 관리를 위한 ‘자율주행 융합사업단(가칭)’을 설립·운영할 계획이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