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동네는 전부 다 민주당 밭이야. 그래도 우리는 어떻게 되든 상관이 없어. 누가 돼도 발전이 없거든. 발전이 중요한 거지, 또다시 뭔가를 뺏기지만 않으면 되지. 법원이 뺏겼으니까. 뭐 어쨌든 간에 잘 살게 해줄 사람한테 찍어야지. 아직까지 지지 정당은 없어. 생각해봐야지. 바라는 점도 없어."
자양전통시장에서 30년 동안 떡집을 운영해온 한 시장 상인은 이번 21대 광진을 총선에 대해 이렇게 평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광진을 선거구는 '구의 1·3동, 자양 1·2·3·4동, 화양동'이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5선을 했던 지역으로 민주당 텃밭이라는 인식이 강한 지역이다. 이번 광진을 선거에는 더불어민주당의 고민정 후보, 미래통합당의 오세훈 후보, 국가혁명배당금당의 허정연 후보, 미래당의 오태양 후보가 출사표를 던졌다.
이 가운데 고민정·오세훈 후보가 부각되고 있다. 고 후보는 '대통령의 입'이라 불리는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대변인을 한 여권 핵심 인사로 꼽힌다. 오 후보는 제33, 34대 서울 시장을 역임한 '관록 있는 정치인'으로 불린다. 특히 올해 총선이 문재인 정부의 중간 평가 성격인 만큼 두 후보 간 맞대결에 언론이 주목한다.
고 후보는 동부지법 이전부지, kt 부지 등 그 일대를 새롭게 조성하는 '구의역 일대 ICT 스타트업 허브 구축'을 1호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에 맞서 오 후보는 어린이대공원 주차장 부지에 키즈 테마파크를 건립하고 국공립어린이집을 50개에서 100개로 확대하는 등 '아이 키우기 가장 좋은 환경'을 만드는 일을 1호 공약으로 정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6일 오후 광진구 자양동 일대에서 만난 지역 주민 중 다수는 표심을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일부 주민만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 대한 지지 표현을 밝혔다.
익명을 요청한 자양전통시장 상인은 이날 본지와 만난 자리에서 "사실 추미애 장관이 하시면서 다른 동은 잘 모르겠는데 자양동은 거의 발전이 없었거든요. 전반적인 생활 여건이나 이런 게…"라며 말끝을 흐린 뒤 "어느 의원이 들어와도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해주실 수 없으니까"라고 말했다.
자양전통시장에서 정육점을 운영하는 엄윤석(남·62) 씨도 "미래통합당을 지지하지만, 박빙일 것 같다"면서 "그냥 뭐, 소상공인들 잘 먹고 잘살게 해주면 되지. 다른 거 뭐 있겠어요?"라고 말했다.
회사원이라고 밝힌 박영명(남·60) 씨도 "특히 자양동이 낙후돼 있잖아요. 옛날에 명동 거리라고 보면 되는데, 지금은 다 죽었어요"라며 "지금은 말도 못 해요. 상당히 어려워요"라고 말했다. 이어 지지하는 후보를 묻는 말에 고 후보를 언급하며 "솔직히 당 보고 하는 거죠"라고 짧게 답했다.
그럼에도 본지가 만난 주민들 대다수는 "그래도 투표는 해야죠"라고 했다. 이는 여론조사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났다. 서울신문이 6일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투표 여부'를 확인한 결과 광진을 유권자의 76.3%가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밝혔다.
후보 선택 기준으로 소속 정당(29.9%), 인물의 능력·도덕성(26.2%) 순으로 답변했다. 특히 고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주민의 44.7%가 소속 정당을 지지 이유로 들었다. 오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주민의 31.4%는 정치 경력 때문이라 답했다.
이와 별개로 고 후보와 오 후보 지지율이 박빙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후보는 45.7%로 오 후보(37.7%)를 오차범위 내에서 8%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당 오태양(1.1%) 후보와 국가혁명배당금당 허정연(0.7%) 후보가 뒤를 이었다. 투표할 후보가 없다거나 잘 모르겠다고 답한 부동층은 14.8%였다.
기사에 인용한 여론조사는 서울 광진을의 18세 이상 남녀 503명을 대상으로 지난 3~4일 조사한 것으로 유무선 전화 면접(유선 RDD 11%, 무선 가상번호 89%)으로 진행했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포인트이고, 응답률은 10.2%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