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총선 유세 중 잇따른 '말실수'로 여야가 난처한 모습이다. 7일 기준 총선 투표일까지 8일 남은 가운데 여야가 치열하게 유세전을 벌이면서다. 말실수가 총선에서 지지율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악재로 꼽히는 만큼 여야 모두 조심하는 분위기다. 그럼에도 유세 현장에서 말실수는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른바 '이해찬 리스크'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이해찬 대표의 발언이 잇따라 구설에 오르면서다. 대표적인 사례로 '부산 비하', '장애인 폄하' 등이 꼽힌다. 이 대표는 6일 부산을 찾은 자리에서 "부산에 올 때마다 매번 느끼는데 왜 교통체증이 많을까. 도시가 왜 이렇게 초라할까 이런 생각을 많이했다"고 말했다.
부산 도심을 가로지르는 경부선 철도 지하화에 대해 거론하면서 나온 이 대표의 발언은 '부산 비하' 논란으로 이어졌다. 특히 부산에서 열린 민주당·더불어시민당 합동 선거대책위원회 공개 발언인 만큼 논란은 커졌다. 미래통합당은 이 대표의 발언에 "초라한 것은 부산이 아니라 문재인 정부의 경제 성적표"라고 꼬집었다.
김우석 통합당 선거대책위원회 상근대변인은 6일 논평에서 이 대표를 겨냥해 "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막말은 정평이 나 있다. 그의 나쁜 입버릇이 총선이 한창인 지금 어김없이 또 나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대표의 발언을 언급하며 "도무지 상식적으로 이해가지 않는, 귀를 의심케 하는 발언"이라며 "이 대표가 부산을 초라하게 느꼈다면, 왜 그렇게 됐는지 문재인 대통령에게 묻고 민주당 소속 오거돈 부산시장에 먼저 물었어야 마땅하다"고 꼬집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통합당 역시 '말실수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최근 논란의 중심에는 황교안 대표가 있다. 황 대표는 최근 'N번방 성착취물 제작 및 유포 사건'을 두고 "호기심 때문에 방에 들어왔다가 막상 보니 '적절치 않다' 싶어서 활동을 그만 둔 사람에 대해 (법적) 판단이 다를 수 있다"고 말해 논란에 휘말렸다.
이어 총선 비례대표 투표 용지에 35곳의 정당이 기입돼 길이가 48cm가 되는 것을 두고 "키 작은 사람은 자기 손으로 들지 못한다"고 발언해 '신체 비하 발언'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황 대표는 연이은 논란에 대해 6일 서울 종로 평창동 유세 및 골목 인사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께서 당과 저의 진정성에 대해 아실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총선에 출마한 일부 지역구 후보자들은 황 대표의 논란을 두고 강하게 비판했다. 지역 표심이 흔들릴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서울 중구·성동구을에 출마한 지상욱 후보는 6일 당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우리 후보자들이 밤낮없이 뛰는데 당의 지도부에서 적절치 않은 발언 나오면 뛰어온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 밖에 없다. 당의 전체적인 메시지가 지역에 어떻게 하달돼 지역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고민해주시길 바란다"고 황 대표를 겨냥해 비판했다.
대전 중구에 출마한 이은권 후보도 5일 대전권역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유권자들에게 들은 말씀을 전달하겠다. 말과 행동을 조심하라"며 "선거법을 꼭 지켜라. 그리고 중앙당 차원에서 제발 헛발질하지 않도록 건의해달라"고 말한 바 있다.
이외에도 통합당은 서울 관악구갑에 출마한 김대호 후보의 '세대 비하' 발언으로 논란이 되자 황급히 진화에 나섰다. 김 후보는 6일 서울지역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60대·70대·깨어있는 50대 민주화 세력의 문제인식은 논리가 있다. 그런데 30대 중반부터 40대는 논리가 아니다"며 "막연한 정서다. 거대한 무지와 착각"이라고 말했다.
해당 발언이 논란이 되자 김종인 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기자들과 오찬에서 "(김 후보) 그 사람 성격상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선 긋기에 나섰다. 당 차원의 논란으로 번질 경우 총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개인이 무슨 한 말씀 한 것을 마치 당의 입장처럼 보도하는 건 삼가줬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