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사우디아라비아 다란 플라자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아람코 컨퍼런스 현장.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일 오전 10시 32분(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글을 올렸다. 짤막한 글이었지만 국제 원유시장 판도를 바꾸기엔 충분했다.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마도 1000만, 많으면 1500만 배럴까지 감산이 가능할 것이라 본다. 곧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24.71달러로 단숨에 튀어 올랐다. 전날(20.31달러)과 견줘 21.7% 점프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간 유가 전쟁이 발발한 이후 추락을 거듭하던 국제 석유시장에 오랜만에 전해진 낭보였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감산 합의 발표 이후 영국 북해 브렌트유 값은 장중 50% 가까이 뛰기도 했다. 장중 배럴당 36.29달러를 찍었는데 전일 대비 47% 높은 가격이다. FT는 “하루 유가 상승 폭으로는 역대 최대”라고 전했다.
지난해 11월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원유생산 시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한 달 사이 국제유가는 50% 이상 급락했다. 지난달 4일 열린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 회의가 발단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석유 수요가 급감하고 유가가 불안하게 움직이자 사우디아라비아 주도로 감산 논의가 이뤄졌다. 여기에 러시아가 반기를 들었고 회의는 소득 없이 끝났다.
유가 전쟁으로 미국 내 셰일산업까지 역풍을 맞자 트럼프 대통령이 중재에 나섰다. 잇따른 전화 회담 끝에 일일 생산량 기준 1000만 배럴 이상 감산이라는 원칙에 합의하는 성과를 냈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은 여전히 많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전 세계 원유 수요는 일일 2000만 배럴 감소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1000만~1500만 배럴 감축으로는 유가 시장을 안정시키기에 여전히 부족하다는 의미다.
오스트리아에 있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본부 간판.[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원유 생산 ‘빅3’가 감산하겠다는 원칙적 합의를 했다고 해도 실제 감축에 나서는 건 다른 문제다. 국가별로 어느 수준으로, 어떤 일정으로 감축해나갈지 협의하는 과정이 남았다. 사우디아라비아는 OPEC 회원국을 포함한 주요 산유국 모두가 모이는 긴급회의 소집을 요청한 상태다. 이번 긴급회의에서 모든 산유국이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올지도 미지수다.
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