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공관에 장남 가족 들인 김명수, 1년새 재산 4억 넘게 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사진 pixabay]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고위 법관 163명의 재산변동내역이 공개됐다. 이들의 평균 재산은 29억 8697만원이다. 7명의 고위 법관들이 100억원이 넘는 자산을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고위법관 재산, 200억원대 1위는



26일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이공현)가 관보를 통해 공개한 정기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고위 법관 중 가장 재산이 많은 법관은 김동오(63ㆍ사법연수원 14기) 의정부지법 원로법관이다. 김 원로법관의 재산은 217억여원이다. 김 원로법관은 2018ㆍ2019년 재산 공개 때도 1위였다. 두 번째로 이름을 올린 법관은 김용대(60ㆍ17기) 서울가정법원장으로 169억 3270만원이다. 윤승은(53ㆍ23기)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166억 3552만원, 조경란(60ㆍ14기) 수원지법 안산지원 원로법관이 149억 9759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5위에서 10위도 지난해와 비슷했다. 최상열(62ㆍ13기) 서울중앙지법 원로법관이 133억 954만원으로 5위, 문광섭(54ㆍ23기) 대전고법 수석부장판사가 131억 9951만원으로 6위였다. 심상철(63ㆍ12기) 수원지법 성남지원 원로법관이 107억 9666만원을 신고해 7위에 올랐다. 100억대 자산을 가진 고위 법관 7명 중 4명이 원로법관이다. 9위와 10위로 새로 10위권에 들어온 강승준(54ㆍ20기) 서울고법 부장판사와 심담(51ㆍ24기) 수원고법 부장판사는 각각 77억 9000여만원대 재산을 신고했다.

고위 법관 163명 중 순재산이 증가한 법관은 130명이고 그중 1억원 이상 재산이 증가한 법관이 57명이다. 1년 새 가장 재산이 많이 늘어난 법관은 김대웅(55ㆍ19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배우자의 토지 증여 등을 포함해 순증가액이 22억원가량이다.



장남 재산 포함으로 늘어난 대법원장 재산



중앙일보

대법원 [연합뉴스]


김명수(61ㆍ15기) 대법원장은 14억 172만원을 신고했다. 지난해보다 4억 6600만원가량 늘어난 액수다. 이는 김 대법원장의 장남인 김한철(34ㆍ42기) 판사의 재산 신고가 새롭게 포함되면서다. 2017년 재산공개내역과 2018, 2019년 재산공개내역에는 장남의 재산이 없었다. 재산 공개 고지거부 및 등록제외사항으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남인 김 판사가 대법원장 공관에 전입신고를 하면서 "주민등록표상 1년 이상 별도 세대를 구성해야 한다"는 고지거부 허가 요건을 잃었다. 김 판사는 서울 서초구 잠원동의 아파트 분양대금 납부액(지난해 말 기준) 5억 2000여만원과 금융기관 채무 등을 새로 신고했다.

대법관 중에선 63억 7992만원을 신고한 안철상 대법관이 가장 부자였다. 권순일 대법관이 47억 8947만원을 신고해 2위였다. 대법관 중 가장 적은 재산을 신고한 대법관은 노정희(57ㆍ19기) 대법관으로 10억 6815만원, 김선수(61ㆍ17기) 대법관이 10억 8412만원 순이었다. 김 선수 대법관은 매일노동뉴스의 비상장주식 1000주를 신고했다.

고위 법관 중 가장 적은 재산을 신고한 법관은 2억 원대의 황진구(50ㆍ24기) 서울고법 부장판사와 김성수(52ㆍ24기) 대전고법 부장판사, 천대엽(56ㆍ21기) 서울고법 부장판사다.



헌재 재판관 평균 23억 재산 신고



중앙일보

헌법재판소.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 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송두환)도 헌법재판소 소속12명의 재산을 공개했다. 재산공개대상자는 정무직 공무원 및 1급 이상 국가공무원이 대상이다. 유남석(63ㆍ13기) 헌법재판소장을 비롯해 재판관, 사무처장 등 12명이다. 이들의 총재산 평균은 23억 8810만원으로 전년도 대비 평균 1억 3794만원이 늘었다.

이미선(50ㆍ26기) 재판관이 49억1300여만원을 신고해 공개대상자 중 최고였다. 지난해보다 1억8951만원 늘어났고, 급여 저축이 주요 증가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 재판관은 배우자인 오충진(52) 변호사가 산 외국기업 주식도 신고했다. 재산 공개 내역에는 "해당 주식은 주식백지신탁 심사위원회가 '공개대상자' 등과 직무 관련성이 없다고 고시한 외국 기업 주식 취득"이라는 설명이 붙었다.

이석태(67ㆍ14기), 이종석(59ㆍ15기), 유남석, 이영진(59ㆍ22기), 이선애(53ㆍ21기) 재판관이 20억원대 재산을 신고했고 이은애(54ㆍ19기) 재판관이 17억원대, 김기영(52ㆍ22기) 재판관이 14억원대, 문형배(55ㆍ18기) 재판관이 6억6000만원대 재산을 신고했다.

이수정 기자 lee.sujeong1@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