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고위공직자·국회의원 3명 중 1명 ‘다주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부처 750명 중 248명…강남3구 포함 2주택 이상은 84명

청와대선 노영민 비서실장 등 16명 포함, 공직자 1채 권고 무색

이용주 의원, 총 30채 ‘최다’…문 대통령 재산 6700만원 감소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와 총리실을 비롯한 정부 부처 등에 재직 중인 재산공개 대상 고위공직자와 20대 국회의원 3명 중 1명 이상이 다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정기 재산변동 사항’을 26일 0시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의 공개 대상자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시·도 교육감 등이 포함된 1865명이다. 이날 공개된 자료는 공직자들이 지난해 12월31일을 기준으로 신고한 것이다.

이들 가운데 청와대 등 고위공직자와 공직유관단체장 등 중앙 부처 재직자는 750명이다. 이 중 다주택자는 33%인 248명이었다. 248명 중 2주택자는 196명이었고, 3주택자는 36명, 4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공직자는 16명이었다.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 3구’를 포함해 두 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공직자는 84명이었다.

청와대는 재산공개 대상 고위공직자 49명 중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을 포함해 16명이 다주택자였다. 황덕순 일자리수석이 주택 3채를 신고했다. 황 수석은 수도권이나 투기지역이 아닌 충북 청주에 주택을 보유 중이다. 김조원 민정수석은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본인 명의의 아파트를, 송파구 잠실동에 배우자 명의의 아파트를 갖고 있다. 노 실장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와 충북 청주시 아파트 등 2채를 신고했다. 노 실장은 지난해 12월16일 “수도권 내 2채 이상 집을 보유한 청와대 고위 공직자들은 불가피한 사유가 없다면 이른 시일 안에 1채를 제외한 나머지를 처분하라”며 “청와대 고위 공직자들의 솔선수범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하지만 노 실장의 권고를 수용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노 실장 자신도 ‘수도권 2채’는 아니지만 다주택 보유 상태를 해소하지 않았다.

재산공개 대상 1865명의 지난해 말 기준 평균 재산은 13억300만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8600만원 증가했다. 재산이 증가한 공직자는 1446명이다. 이 중 68명(4.7%)은 5억원 이상 늘었다고 신고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재산은 지난해 3월 공개 당시 20억1600만원이었으나, 이번 신고에서 6700만원가량이 줄었다. 지난해까지 1억5100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모친이 등록 대상에서 제외된 데 따른 것이다.

국회의원 287명 가운데 다주택 소유자는 100명으로 전체의 34.8%를 차지했다. 정당별로는 미래통합당이 52명으로 가장 많았다. 무소속 이용주 의원이 가장 많은 건물을 소유했다. 이 의원은 본인과 부인 명의로 원룸·아파트·상가 등 모두 47억여원 상당을 보유했다. 이 중에는 부인과 함께 분할 소유 중인 원룸 11세대와 부인이 소유 중인 서울 반포동·이촌동·신촌동 아파트와 마포구 망원동 건물, 자양동 연립주택 등이 있었다. 충남 조치원 및 경기 부천에도 상가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선임·박홍두·윤지원 기자 shlee@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