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진영 행안장관 재산 15억↑...국무위원 中 증가 1위[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文 대통령, 고 강한옥 여사 재산 제외돼 6천만원↓
김현종 차장, 靑서 재산 가장 많이 늘어 5억5천 증가
주진숙 영상자료원장 180억원 신고...재산 상위 1위


[파이낸셜뉴스]
파이낸셜뉴스

작년 3월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인사혁신처 직원들이 2019년도 정기 재산변동사항 관보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에서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고위공직자는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2차장으로 나타났다. 총 재산 58억원을 신고한 김 차장은 재산이 5억원 가량 늘었다. 국무위원 중에선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의 재산이 15억원 증가해 가장 많은 상승폭을 보였다. 진 장관은 총 80억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고위공직자는 주진숙 한국영상자료원장으로 약 180억원을 신고했다.

■文, 아들 준용씨 재산 3년째 고지 거부
26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고위공직자 정기재산 변동사항 공개 결과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작년 공개 당시보다 6673만원 줄어든 19억4927만원을 신고했다. '근로소득, 연금소득 등 저축 증가'로 예금이 6796만원 증가했지만 그간 함께 신고해왔던 문 대통령의 어머니 고 강한옥 여사의 재산 1억5148만원이 제외되면서다.

경남 양산의 토지와 건물은 각각 2억1943만원, 3억6283억원으로 집계됐다. 예금은 김정숙 여사와 함께 15억5008만원을 신고했다.

아들 문준용씨의 재산은 독립생계를 이유로 고지를 거부했다. 3년 연속이다. 고지 거부는 독립생계를 유지할 능력이 있는 직계 존·비속이 재산 고지를 거부할 수 있는 제도다.

올해 고지 거부율은 29.9%를 기록했다. 2018년 31.8%에서 작년 27.4%로 낮아졌다가 다시 상승한 것이다. 인사처 관계자는 "고지 거부를 신청한 경우 독립생계 등 거부 사유가 합당한지 모두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은혜 장관, 국무위원 中 최하위
청와대에서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이는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2차장이다. 5억5091만원이 늘었다. 본인 소유의 용산구 이태원 아파트와 배우자 소유 강남구 대치동 상가 값이 13억915만원에 16억9869만원으로 3억8953만원 올랐다. '예금이자, 임대수익' 등 예금도 1억6675만원 증가했다.

반면 청와대에서 재산이 가장 적은 인물은 7억3748만원을 신고한 강기정 정무수석비서관으로 나타났다.

국무위원 중에서는 80억6050만원을 신고한 진영 행안부 장관이 단연 돋보였다. 진 장관의 재산은 이전 신고액보다 15억6만원 늘었다. 그는 '토지, 아파트 매매, 급여 소득'을 이유로 예금이 20억9414만원 크게 늘었다. 진 장관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와 성동구 대지를 각각 27억8000만원, 3억1672만원에 매매했다고 적었다.

국무위원 중 가장 적은 재산을 보유한 인물은 유은혜 교육부 장관이다. 유 장관은 2억6420만원을 신고했다.

■재산 하위, 광역시·도 의원 다수
이번 공개 대상자 중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고위 공직자는 주진숙 한국영상자료원장이다. 179억3160만원을 신고했다.

주 원장은 배우자의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와 종로구, 강동구에 위치한 상가 3채 등 건물만 총 90억7346만원을 신고했다. 서울, 제주 소재 토지도 84억3735만원에 이른다. 예금은 6억6046만원, 유가증권은 4억4255억원이었다.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137억2979만원), 김창용 정보통신사업진흥원 의원(133억942만원), 성중기 서울시의원(132억3119만원)순으로 재산이 많았다.

반면 문행주 전라남도의원은 -6억9297억원으로 가장 재산이 가장 적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6억9091억원으로 하위 2위를 기록했다. 이상정 충청북도의원(-5억6321만원), 오인철 충청남도의원(-5억839만원)이 뒤를 이었다. 재산 상위 10명은 중앙부처, 지자체, 유관기관 등 여러 기관이 골고루 섞인 반면 하위 10명 중 7명은 광역시·도 의원으로 채워졌다.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