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4·15 총선 격전지 이곳] (7) 이용우 '혁신기업 유치' vs 김현아 '창릉신도시 철회'…고양정, 부동산 전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론조사마다 승패 엇갈려 초박빙

분당 집값과 격차 해소 최대 쟁점

10%대 부동층 표심 향방 촉각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

출처 =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고양정 후보 블로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장원 기자 = 4·15 총선을 앞둔 고양정은 수도권 여야 최대 격전지 중 한 곳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전 카카오뱅크 공동대표와 김현아 미래통합당 의원의 초박빙 대결이 펼쳐지고 있다. 여론조사마다 다른 결과를 내놓으며 세간의 예측을 불허하는 상황이다. 부동층의 움직임과 적극 투표층의 투표율이 승부를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경인일보가 알앤써치에 의뢰해 지난 16~17일 진행한 여론조사(고양정 거주 만 18살 이상 514명 대상,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3%포인트)에 따르면 이 전 대표와 김 의원은 각각 40.5%, 40.2%의 지지율을 얻어 불과 0.3%포인트 차의 접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선 가능성은 이 전 대표 43.3%, 김 의원 41.3%로 집계됐다. 정당지지율도 민주당이 38.7%, 통합당은 35.4%를 기록해 모두 오차 범위 안에 있었다. 10.9%로 집계된 부동층이 키를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8일 중부일보가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김 의원이 근소하게 앞서는 결과가 나왔다. 김 의원은 38.8%, 이 전 대표는 37.4%를 기록했다. 부동층으로 볼 수 있는 ‘지지후보 없음’(9.2%)과 ‘잘 모르겠다’(8.6%)는 대답이 17.8%로 비교적 높게 나왔다.(아이소프트뱅크 의뢰, 16일 고양시 정지역 거주 만 18살 이상 506명 대상.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

여론조사 기관이 서로 달라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며칠 앞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김 의원이 최근 다소 상승세를 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보가 입소스에 의뢰해 지난 12~13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42.2%의 지지를 얻어 김 의원(31.1%)을 오차범위(±4.4%포인트) 밖으로 앞섰다. 한국일보와 KBS의 조사(한국리서치 의뢰)에선 이 전 대표 35.7%, 김 의원 29%였다.(각 여론조사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아시아투데이

출처 = 김현아 미래통합당 고양정 후보 블로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산 집값 최대 쟁점, 이용우 ‘소프트웨어 경영’ vs 김현아 ‘부동산 전문가’

지난 19·20대 총선에서 고양시는 대체로 진보 성향이 강했다. 현재 고양정도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지역구다. 다만 고양정은 17·18대에는 김영선 전 의원(당시 한나라당·새누리당)이 당선된 바 있어 전통적인 민주당 텃밭으로 보기도 어렵다. 최근 지지율 추이를 볼 때 어느 때보다도 치열한 접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번 고양정 선거의 키워드는 부동산이라는 것이 지배적인 관측이다. 같은 시기 개발된 분당에 비해 절반 수준을 보이는 일산의 집값에 대해 어떤 해답을 내놓는지가 두 후보의 운명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지난해 초 발표한 창릉신도시 건설 계획은 두 후보 간 경쟁에 있어 뜨거운 감자다. 시민들은 3만8000가구 규모의 창릉신도시가 일산과 인접해 있어 집값에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한다.

부동산 전문가로 꼽히는 김 의원은 ‘창릉 신도시 철회’를 총선 최대 목표로 내세웠다. 지난해부터 고양에서 기반을 다진 김 의원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실패’로 규탄하며 ‘김현미 장관 지역구’를 바꿔보겠다고 유권자에게 호소하고 있다. 김 의원은 생명 과학·의료 바이오 산업단지 건설을 통해 일자리를 유치하고 교통망을 확충해 일산의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반면 이 전 대표는 기업경영 경험을 최대 장점으로 내세운다. 더 짓기보다는 있는 것을 잘 기획한다는 ‘소프트웨어 경영론’을 들고 나왔다. 이 전 대표는 ‘창릉신도시를 안 한다고 일산 집값이 오르지는 않는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이 전 대표는 혁신기업 유치와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을 통해 경제 혁신을 이뤄 집값도 함께 올린다는 목표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