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9 (일)

'댓글부대·드루킹' 몸살 앓은 네이버…총선 앞두고 '초강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정원 댓글부대·드루킹 사태에 최근 '차이나게이트' 의혹까지

19일부터 댓글 이력 공개…4월 2일 실시간 검색어 한시 중단

뉴스1

(네이버 뉴스 댓글 모음 캡처)© 뉴스1


(서울=뉴스1) 권혁준 기자 = 총선을 앞두고 네이버가 조작논란의 온상으로 지목돼온 실시간검색어와 댓글 등에 '메스'를 들었다. 댓글이력을 모두 공개했고 실시간검색어도 한시적으로 중단한다. 계속되는 조작 논란에 몸살을 앓던 네이버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내놓은 처방이 '약효'가 있을지 주목된다.

네이버는 지난 19일부터 댓글 작성자의 활동이력과 닉네임을 공개했다.

이전까지는 본인이 쓴 댓글의 공개 여부를 스스로 정할 수 있었지만 이날부터는 댓글 작성자가 지금까지 작성한 모든 댓글의 목록이 공개됐다. 언제 가입했고 몇개의 댓글을 썼는지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게시 중인 모든 댓글과 댓글 수, 받은 공감 수가 집계돼 나타난다. 특히 최근 30일간 받은 공감 비율과 본인이 최근 삭제한 댓글 비율도 함께 제공된다.

여기에 더해 신규 가입한 이용자는 실명 확인을 하지 않은 경우 가입 후 7일이 지난 시점부터 뉴스 댓글 활동을 할 수 있다.

네이버는 조만간 또 한 번의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총선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되는 4월 2일부터 급상승검색어 서비스 운영을 한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이다. 이와함께 총선 후보자명에 대한 자동완성 기능, 검색어 제안(추천) 기능도 중단된다.

'댓글'과 '실검'은 그간 국내 포털 1위를 달려온 네이버의 간판서비스와도 같은 것이었다. 이같은 서비스에 이용자의 활동을 제한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거나, 한시적으로나마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조치였다.

네이버가 이같은 결단을 내린 배경에는 각종 '조작논란'이 있다. 2012년 대선 정국에서 처음 불거진 이 논란은 최근까지 네이버를 괴롭혀 온 이슈였다.

지난 2012년 당시 여당이던 새누리당(현 미래통합당)이 국가정보원을 이용해 포털사이트에서 댓글을 달고 추천수를 조작하는 등의 여론을 조작했다는 의혹이 일었다. '댓글부대', '좌표'와 같은 말이 처음 등장한 때였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은 최근 1심에서 징역7년을 선고받았다.

정권이 바뀐 이후에도 같은 논란이 불거졌다. 바로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이다. 더불어민주당의 책임당원이던 '드루킹' 김동원씨를 중심으로 역시 포털사이트 댓글을 비롯해 인기 검색어 등을 조작했다는 의혹이었다. 김씨의 재판은 대법원까지 이어졌고 지난달 징역 3년의 실형이 확정됐다.

드루킹 사건 국면에서는 네이버에게도 화살이 돌아갔다. 각종 조작논란이 이어지는 데도 '뒷짐'만 지고 있으며, 포털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나치게 크다는 비판이었다.

뉴스1

포털사이트 댓글조작 혐의로 실형이 확정된 '드루킹' 김동원씨(49). /뉴스1 DB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네이버는 본격적인 변화를 시작했다.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와 실시간 검색어를 없애고, 뉴스 서비스를 언론사별 구독 서비스 중심으로 개편했다. 또 어뷰징 자동감지시스템을 도입하고 SNS 계정으로 댓글 작성 금지, 동일 기사에 댓글 게시 수 제한 등의 제도도 마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혹은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8~10월에는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임명 국면에서 조 전 장관을 지지하는 진영과 반대하는 진영간 '실검 전쟁'이 벌어지면서 또 한 차례 홍역을 치러야 했다.

'코로나 국면'이 이어지고 있는 최근에도 이른바 '차이나게이트'로 불린 또 한 번의 논란이 불거졌다. 조선족 등 중국 내 특정 세력이 국내 포털사이트 등에서 여론을 조작한다는 의혹이었다. 악성 댓글을 두고 특정 정치 세력의 '알바'가 아니냐며 몰아붙이던 것이 이제는 '중국인이냐'로 바뀌었다.

네이버가 댓글 이력 공개와 총선기간 '실검' 중단을 결정한 것은 차이나게이트 논란이 확산되기 이전이지만 시점은 묘하다. 총선을 앞두고 또 한 번 조작이라는 격랑에 휩싸일 뻔했던 네이버로서는 '선제적 대응'을 한 셈이 됐다.

네이버는 이후로도 특정 댓글러의 글을 차단하는 기능,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악성댓글러를 판단하고 필터링하는 기능 등도 적용할 계획이다. '악성댓글과의 전쟁'을 벌이는 동시에 여론 조작 의혹에서도 한 발짝 물러서겠다는 복안으로 해석된다.
starburyn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