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2 (일)

이슈 치료제 개발과 보건 기술

면역항암치료제 효능이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면역세포 힘 못쓰게 하는 단백질 'TOX' 농도 높을수록 항암치료 효능 떨어져
연세대 이인석·하상준 교수 연구팀, 면역관문억제제와 역상관관계 밝혀내


파이낸셜뉴스

면역세포 T세포. 게티이미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면역세포의 공격력을 잃게 하는 즉 탈진을 유도하는 암세포 속 단백질 TOX의 농도가 면역항암치료의 효과와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다시말해 면역항암치료제의 효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을 찾아낸 것이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이인석·하상준 교수 연구팀이 면역세포인 'T세포'를 탈진하게 하는 단백질 'TOX'를 밝혀내고, 암 조직 내 TOX 농도가 높을수록 면역관문억제제 효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암 조직 내 T세포의 TOX가 나타나는 양이 암환자의 예후예측 및 면역관문억제제 효과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다수의 악성종양 및 환자 집단을 이용해 처음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향후 TOX를 억제하는 저분자화합물 발굴 및 이를 이용한 기존 면역 관문억제제와의 병용을 통해 면역항암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종양세포는 T세포의 눈을 속이기 위해 거짓 신분증, 즉 면역회피물질을 내뿜는데 면역관문억제제가 이를 막는다.

바이러스에 만성적으로 감염된 생쥐모델에서 제 구실을 못하는 T세포가 관찰되는 등 T세포의 탈진은 감염이나 암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하지만 T세포 탈진이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현상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일세포유전체 분석을 통해 암 조직 내 여러 세포 중 T세포만의 정보를 선별해 탈진정도에 따른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T세포 탈진유도에 관여하는 단백질 TOX를 찾아냈다.

실제 폐암 및 두경부암 환자의 임상시료에서 TOX 농도가 T세포 탈진정도와 매우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간섭RNA로 TOX 생성을 억제하자 세포탈진을 일으키는 면역회피물질 생성은 줄고 정상적 T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생성이 늘어 이 같은 관련성을 뒷받침했다.

우리 몸의 면역을 이용해 부작용이 적은 면역관문억제제는 2011년 FDA 승인 이후 폐암, 두경부암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는 환자에게는 효과를 보이지만 안타깝게도 30% 이하의 환자들만 반응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지원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진행됐으며 '지놈 메디신'에 2월 28일 게재됐다.

#단백질 #암세포 #면역세포 #종양 #효능 #유전체 #연구재단 #면역항암치료제 #면역관문억제제 #상관관계 #TOX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