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물가와 GDP

세계증시 시총 52일 만에 1경9천조 증발…한국GDP의 10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평균 18.7% 줄어 약세장 '코앞'…한국은 22% 감소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공포감에 사로잡힌 세계 증시의 시가총액이 52일 만에 1경9천조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1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15일 블룸버그가 86개국 증시의 시총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이달 12일(이하 현지시간) 현재 이들 국가의 증시 시총은 72조4천869억달러(약 8경8천232조 원)로 코로나19 이전 고점인 1월 20일(89조1천565억 달러)보다 16조6천696억 달러(18.7%) 줄었다.

한국 돈으로 환산하면 52일 만에 1경9천475조원이 증발한 셈이다.

1천893조원(2018년 기준)인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10.3배에 달하는 규모다.

이로써 세계 증시는 약세장 진입을 코앞에 두게 됐다. 일반적으로 주가가 최근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추세적 하락을 의미하는 약세장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

세계 증시는 2주 전인 지난달 27일까지도 전 고점 대비 6.73%의 낙폭을 보였으나 3월 들어 코로나19가 중국 밖으로 빠르게 퍼지면서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악화하자 하락세에 가속도가 붙었다.

연합뉴스


이 기간 증시가 하락세를 기록한 국가는 82개국이고, 상승한 국가는 4개국에 불과했다.

20% 이상 낙폭을 보인 국가는 33곳이었다.

국가별로는 러시아 증시의 시총이 8천53억 달러에서 5천64억 달러로 2천989억 달러가 줄어 감소율이 37.12%에 달했다.

코로나19 여파에다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유가 인하 경쟁으로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겹악재로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어 콜롬비아(-35.92%), 노르웨이(-35.40%), 브라질(-34.98%), 슬로바키아(-34.60%), 호주(-33.14%), 태국(-32.54%), 그리스(-31.75%) 등 순으로 시총 감소율이 컸다.

한국 증시의 시총은 1조4천768억 달러에서 1조1천505억 달러로 22.09%(3천263억 달러) 줄어 감소율이 28번째였다.

미국 증시의 시총은 6조6천922억 달러(18.84%) 감소했다.

경기 침체에 직면한 일본 증시는 1조2천368억 달러(19.71%) 줄었다.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은 시총 감소율이 4.22%(3천309억 달러)로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었다.

이밖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이탈리아 증시의 시총이 25.58% 준 것을 비롯해 영국(-26.08%), 독일(-20.26%) 프랑스(-22.24%), 스페인(-21.90%) 등 유럽 국가들도 20%를 넘는 감소율을 기록했다.

[표1] 1월 20일∼3월 12일 증시 시가총액 감소율 상위 10개국 및 주요국 상황

연합뉴스



newglas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