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우리금융지주는 전일 대비 600원(6.52%) 떨어진 8600원을 기록했다. 장중 8550원까지 떨어져 지난해 2월 상장 후 역대 최저가를 새로 썼다. 하나금융지주는 1950원(6.53%) 떨어진 2만7900에 마감했고, 신한지주, KB금융, 기업은행, BNK금융지주도 5~6%대 하락했다. 모두 장중 52주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서울=뉴스1)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2020.2.27/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은행주 약세는 글로벌 금리 인하 기조 탓이다. 지난 3일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기준금리를 50bp(1bp=0.01%) 깜짝 인하한데 이어 호주, 캐나다까지 가세하면서 한국은행도 오는 4월9일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연 1.25%인 기준금리를 25bp 내리면 1%대 초저금리 시대가 개막하는 셈이다. 한은이 이달 임시 금통위를 열 가능성, 연내 2회 인하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은 "1차례 금리 인하만으로는 경기 하방 리스크를 방어하기엔 역부족인 만큼 최소 2차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은행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급격히 악화 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시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수익성이 약화될 수 밖에 없어서다. 최근 금융사고로 막대한 배상금, 과태료 부과 위기에 처한 것도 악재다. 금융감독원은 독일 파생결합펀드(DLF) 관련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에 각각 197억여원, 167억여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이들 두 은행은 라임자산운용 사태와도 연관돼 있다. 신한금융지주의 경우 감독당국이 신한금융투자가 아예 라임과 공모해 '라임 무역금융펀드(플루토 TF-1호)'를 사기 판매한 것으로 보고 있어 손실이 더 클 수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라임 펀드와 관련해 은행 전체적으로 약 1000억~2700억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은행주 급락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리스크가 충분히 반영된 만큼 투자를 고려할만하다는 의견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금리 상황이 반전되지 않는 한 의미 있는 은행주 반등은 어렵지만, 예상 가능한 이익 훼손 폭 대비 주가 낙폭이 지나치게 과도하다"고 짚었다.
은행주가 역대 저점을 경신하면서 배당 매력은 높아졌다. 김도하 케이프증권 연구원은 "커버리지 대상인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기업은행의 PBR(주가순자산비율)은 0.31배로 현저한 저평가상태"라며 "과도한 주가 하락으로 5개사의 2020년 기대 배당수익률은 6.4%까지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김소연 기자 nicksy@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