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ADB "코로나19로 한국 취업자 36만명 감소 예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한국 경제 성장률이 하락하고 취업자 수는 36만명 가까이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코로나19 경제적 영향 평가에 따르면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했을 경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65억3100만 달러(약 19조7000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GDP의 1.02%(2018년 기준 적용)에 해당한다.


고용에도 영향을 줘 취업자 수가 35만7000명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전체의 1.19% 수준이다.


분야별로 나눠보면 운수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는다. 운수업 생산액 증가율이 코로나19로 최대 2.41%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금액으로 따지면 13억2241만 달러다.


호텔ㆍ레스토랑ㆍ기타 개인 서비스의 생산 증가율은 2.13%포인트(26억6120만 달러) 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외에도 농업ㆍ광업ㆍ채석 분야 생산액은 5억7510만 달러(1.51%포인트), 기업ㆍ무역ㆍ공공서비스 생산액은 77억8741만 달러(1.00%포인트), 경ㆍ중공업과 공공사업ㆍ건설업은 41억8481만 달러(0.67%포인트)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ADB가 내놓은 최악의 시나리오는 중국 여행 금지와 내수 감소가 6개월간 이어지고 한국에서도 코로나19가 발병해 3개월간 지속하는 경우를 가정했다. 중국 내 소비와 투자가 평소에 비해 2% 감소하고, 한국에서도 소비가 2% 줄어드는 것도 전제 조건이다.


이외에도 중국에서 해외로 향하는 관광객은 6개월간 반으로 줄며, 아시아 외 국가에서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를 찾는 관광객 수도 최상의 시나리오보다도 40% 더 감소한다는 시나리오다. 최상의 시나리오에서는 사스(SARSㆍ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당시 감소 폭과 동일할 것으로 봤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