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왼쪽)과 부인 김정숙 여사(왼쪽 세 번째)가 20일 오전 청와대 본관 충무전실에서 지난해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에 이어 올해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등 4개 부문 상을 받은 영화 〈기생충〉을 만든 봉준호 감독(왼쪽 두 번째)과 배우, 제작진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 아내가 우리 봉준호 감독님을 비롯해서 여러분에게 헌정하는 짜파구리가 맛보기로 (점심 메뉴에) 포함돼 있습니다. 함께 유쾌한 시간 되기 바랍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말에 좌중은 웃으면서 손뼉을 쳤다. 짜파게티와 너구리 라면을 함께 끓인 짜파구리는 영화 ‘기생충’을 특정하는 메뉴고, 문 대통령의 말에 웃은 좌중은 봉준호 감독과 송강호 배우 등 '기생충' 제작진과 출연진이었다.
문 대통령은 20일 기생충 제작진과 출연진 20여 명을 청와대로 불러 함께 점심을 먹으며 수상을 축하했다.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은 불참했다.
이날 오찬 분위기는 문 대통령의 짜파구리 발언에 그대로 녹아있었다. 취재진에 공개된 20분 남짓한 장면에서만 박수가 네 번 나왔고, 10여 차례 웃음보가 터졌다. 이런 사담도 오갔다.
“아내가 특별한 팬입니다.”(문 대통령)
“남편과 같이 영화관에 가서 봤고, 그 다음에 또 한 번….”(김정숙 여사)
“두 번, 그럼 즉석 퀴즈, (박명훈 배우 가리키며) 이 배역의 이름은?”(봉 감독, 일동 웃음)
“근세.”(김 여사)
문 대통령도 배우 박소담씨에게 “제시카(극 중 배역 이름) 송, 가사를 누가 지어 준 거예요”라고 물으며 관심을 표했다.
문 대통령은 “여러분, 축하한다. 아마 축하 인사를 수도 없이 들었을텐데, 대통령의 축하 인사도 특별하지 않다”며 말문을 열었다. 문 대통령은 “오스카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고 최고의 영화제이지만, 우리 봉준호 감독님이 아주 핵심을 찔렀다시피 로컬 영화제라는 그런 비판이 있었다”며 “그러나 우리 ‘기생충’, 우리 영화가 워낙 빼어나고, 또 우리 봉준호 감독님의 역량이 워낙 탁월했기 때문에 정말 비영어권 영화라는 그 장벽을 무너뜨리고 최고의 영화, 최고의 감독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는 점이 아주 특별히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나는 ‘기생충’이 보여준 그 사회의식에 대해 아주 깊이 공감을 한다”며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고 세계적인 문제이긴 하지만, 불평등이 하도 견고해져서 새로운 계급처럼 느껴질 정도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을 우리 최고의 국정 목표로 삼고 있는데, 그게 반대도 많이 있기도 하고 또 속 시원하게 금방금방 성과가 나타나지 않아 매우 애가 탄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영화 산업의 융성을 위해 영화 아카데미 지원을 대폭 늘린다거나 확실히 지원하겠다”며 “그러나 간섭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도 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봉 감독은 “너무나 조리 있게 또 정연한 논리적인 흐름과 완벽한 어휘 선택으로 기승전결을 마무리하는 것을 보고 저는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충격에 빠져 있는 상태”라고 추켜세웠다. 봉 감독은 “좋은 자리에서 대장정을 마무리할 수 있게 돼 너무 기쁘다”고 했다. 배우 송강호씨도 “따뜻한 음식을 먹으면서 (기생충 상영부터 수상까지의) 대장정을 마무리짓는다는 것이 특별하다”고 했다.
이어진 식사시간에도 짜파구리가 화제가 됐다. 김 여사와 봉 감독은 이런 대화를 주고받았다.
“(오찬과 관련) 저도 계획이 있었다. 어제 오후 내내 조합을 한 짜파구리다. 코로나19 때문에 지역경제와 재래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대파) 농사는 잘됐는데, (안 팔리니) 농민들의 시름이 깊다. 그래서 작정을 하고 가서 대파를 구입했다. 중식 대표 셰프인 이연복 셰프에게 짜파구리를 어떻게 연결시킬지 들었고, 소고기 안심은 너무 느끼할 것 같으니 돼지고기 목심을 썼다. 그리고 대파다. 저의 계획은 대파였다. 이게 (청와대의) ‘대파 짜파구리’다 .”(김 여사)
“사실 짜파구리 한 번도 안 먹어보고 시나리오를 썼다. (웃음) 맛있군요.”(봉 감독)
일각에선 대구ㆍ경북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행사를 미루지 않고 예정대로 연 것이 적절하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그런 논의에 대해 들어본 적 없다”고만 했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