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원자력발전 기업인 두산중공업이 강도 높은 인력 구조조정을 발표하며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탈(脫)원전' 정책에 대한 비판이 잇따르자 정부가 급히 해명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두산중공업은 최근 수년간 세계 석탄화력 발주 감소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두산중공업의 국내 원전 매출(추정)은 에너지전환 정책 이후에도 큰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두산중공업이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할 만큼 경영상황이 악화된 것은 탈원전 정책 때문이 아니라 최근 수년간 세계 석탄화력 발주 감소 때문이라는 것이다. 산업부는 이에 대한 근거로 세계 석탄화력 최종투자 결정 규모가 2015년 88GW에서 2018년 23GW로 크게 낮아진 IEA(국제에너지기구) 통계를 인용했다.
탈원전 정책으로 건설이 중단된 경북 울진군 신한울 원전 3·4호기 예정지. 예정지 뒤편에 보이는 것은 현재 건설 중인 신한울 1·2호기./조선일보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산업부는 또 한국수력원자력이 두산중공업에 지급한 금액, 즉 두산중공업의 국내 원전 사업 매출은 과거와 달라진 게 없다고 해명했다. 한수원이 두산중공업에 지급한 금액은 2017년 5877억원에서 2018년 7636억원, 2019년 8922억원으로 증가했다.
당장 업계에서는 정부가 표면적인 수치로 탈원전 정책으로 산업 생태계가 파괴된 상황을 가리려고 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두산중공업의 핵심 수익원은 원전 사업이고, 탈원전 정책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구조조정의 주원인이라는 것이다.
탈원전 정책으로 두산중공업이 입은 피해는 수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2018년 탈원전을 선언하면서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한 신규 원전 6기 건설을 백지화했는데, 이로 인해 매출 7조~8조원이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전 핵심 설비인 원자로와 증기발생기를 만드는 두산중공업의 원전 1기당 매출이 1조2000억원 이상이다.
김성원 전 두산중공업 부사장은 한 인터뷰에서 "신한울 3·4호기 공사 계획에 맞춰 4900억원 상당의 투자가 이뤄졌고, 기자재 보관 비용까지 합치면 백지화에 따른 매몰비용만 7000억원"이라고 했다.
원전 일감이 끊긴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원전 부문 공장 가동률은 곤두박질쳐 2017년까지 100% 가동하던 공장이 올해는 60%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발전플랜트 사업의 특성상 경영 계획에서 수주 잔고가 중요한데 두산중공업의 중공업부문 수주잔고는 15조원 아래로 감소했다"며 "경영난 개선이 어려운 상황에서 두산중공업이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의 구조조정 요인을 ‘석탄화력 발주 감소’로 지목한 산업부는 자료 뒷부분에 "두산중공업과 협력사 등 원전 기업의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한 보완대책을 지속 추진하고, 강화하겠다"며 "일감 확보, 단기 경영애로 해소 지원을 통해 원전 산업의 연착륙을 유도하고, 핵심 공급망, 인력 관리를 통해 원전 안전운영과 핵심 생태계 유지에 문제가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연선옥 기자(actor@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