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효과에 농산물값 오른 영향
신종코로나 따른 소비 부진 변수
4일 통계청의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5.79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보다 1.5% 상승했다. 2018년 12월(1.3%) 이후 1년 1개월 만에 최고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그래픽=신재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월 물가가 반등한 건 지난해 지속적인 저물가를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으로 분석됐다. 안현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재작년 폭염으로 가격이 폭등한) 농산물 기저효과가 끝나고 작황 악화로 채소류 가격이 올랐다”며 “국제유가도 상승해 전체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는 농수축산물(2.5%)과 석유류(12.4%)가 크게 올랐다. 대체로 일상생활에 직접 영향을 주는 품목이다. 채소류 중 배추는 76.9%, 무는 126.6% 올랐고 택시요금(13.7%), 시내버스료(4.9%) 등 공공서비스 가격도 뛰었다. 특히 중동 불안에 따른 석유류의 가격 상승은 2018년 7월 이후 최대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65년 이후 가장 낮은 0.4%를 기록했다. 1~12월 연속 0%대 상승률을 기록해 디플레이션 우려를 낳았다. 특히 지난해 9월은 -0.4%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였다.
이번 달에도 근원물가지수는 0.9% 오르는 데 그쳤다. 근원물가는 계절적 요인에 따라 등락이 큰 농산물·석유류 등을 제외한 물가로 장기 추세를 나타낸다. 근원물가는 지난해 8월부터 6개월 연속 0%대를 기록 중이다. 가계·기업의 수요 부진이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의미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로 인한 물가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안현준 심의관은 “2003년 발생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의 경우 물가에 두드러진 영향을 관측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의 경우에는 레포츠 이용료, 놀이시설 이용료 등 일부 품목이 1분기 정도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로 소비 부진이 본격화하면 저물가가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 유통업은 이미 직격탄을 맞았다. 롯데백화점의 지난 주말(1~2일) 매출은 지난해 설 연휴 직후 첫 주말(2019년 2월 9~10일)과 비교해 11% 감소했다. 신세계백화점의 지난 주말 매출은 12.6% 감소했고, 명동 본점 매출은 23.5% 줄었다.
세종=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