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유승민 새로운보수당 보수재건위원장이 통합 참여 방법 중 하나로 선거연대를 제시한 가운데, 혁신통합위원회(혁통위)를 이끌고 있는 박형준 위원장이 선거연대는 혁통위 원칙에 어긋난다며 이번 주 내로 당론을 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만약 당론을 정하지 않을 경우 사실상 통합이 어렵다는 뜻도 밝혔다.
박 위원장은 2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8차 혁통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선거연대는 우리 혁통위 원칙과 맞지 않는다. 통합을 하자고 모여 있는 것이고, 통합의 시간표가 그렇게 여유가 있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번주 안에 새보수당 입장이 기본적으로 결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오는 31일 열리는 1차 국민보고회까지 통합에 당으로서 참여할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것인지를 정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앞서 유 위원장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통합 안에 선거연대와 후보 단일화도 옵션으로 들어간다"며 선거연대 방식의 통합을 시사한 바 있다.
하지만 박 위원장은 선거연대를 통한 보수통합 안은 받지 못하겠다고 사실상 거부 방침을 밝힌 것. 그는 "새보수당의 입장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지 않은 것 같다"며 "의원들이 논의를 해 31일까지 통합에 대한 결정을 해 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문병호 전 의원, 김영환 의원 등 안철수계 의원들과는 내일 오전 공개 회동을 갖고 통합신당 참여 여부에 대해 의논한다. 그는 "내일 범 중도보수의 만남을 추진할 예정이며, 김 의원은 안 전 의원과 함께 정치활동을 했던 분이고 문 정권 국정에 대해서도 실망해 심판 취지에 동의하고 있다"며 "우리 통합신당의 가치와 정책기조를 보고 상당한 호감을 표했다. 거기에 계신 분들이 일정하게 세력을 규합해서 저희 통합신당에 참여키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열린 8차 회의에서 박 위원장은 "우리가 통합을 추진하는 데 반드시 명심해야 하는 것은 서로의 생각과 입장이 다른 점을 강조하기보다는 같은 점을 강조하자는 것"이라며 "귤과 오렌지와 한라봉이 다르다는 것만을 보지말고 공통점을 중시하자"고 말했다. 그는 "통합 추진의 주체끼리 서로를 따스한 관용의 시선으로 보아야 한다"며 "이번주 금요일(31일)에 1차 통합 결과를 보고하게 되는 만큼 혁신과 통합에 이번주가 중요한 분기점"이라고 말했다.
정운천 새로운보수당 의원도 최근 법무부의 검찰 인사를 비판하며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하라고 이야기하던 대통령이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하는 기관은 다 망쳐놓고 있다"며 "흔들린 자유민주주의, 자유시장경제,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라도 보수대통합을 이뤄서 문재인 정부의 폭정을 막아내야 한다"고 통합을 강조했다.
이갑산 범시민단체연합 상임대표 역시 "황교안 대표, 유승민 위원장은 불출마를 통해 기득권을 내려놓고 모든 세력이 손을 잡고 전국을 다니면서 대한민국을 지켜야 한다"며 "광화문 동지 여러분도 분열로 가서는 안된다. 4·15 총선에서 광화문 세력이 통합신당으로 뭉쳐서 저 무도한 정권에 대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상덕 원자력공동연대 공동대표도 지난 23일 열린 시민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에서 결의한 4가지 사항(▲통합신당 건설 ▲한국당의 공관위원 임명과 새보수당의 선거연합 시도는 혁통위 합의사항에 위배됨 ▲통합신당 창당준비위 결성 ▲연석회의 의결 6개 사항 성실하게 추진) 등을 발표하며 이날 회의 의제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경모 국민의소리 부위원장은 "앞서 광화문 광장에서 열심히 문 정권을 반대하고 투쟁해 온 시민사회 대표들을 공관위원에 선임해야 한다고 요청했지만, 김형오 한국당 공관위원장이 이들의 의견을 묻지 않은 채 위원을 선임했다"며 "김 위원장의 공관위원 선임이 보수우파 통합의 길에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이 원인인지 모르지만 광화문 광장에서 분열 조짐을 보이는데, 분열을 넘어 통합 대의에 따라 나갈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