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지난해 막바지에 정부가 돈을 풀면서 한국이 2%대 턱걸이 성장을 한 가운데, 경제 전문가들의 눈은 벌써부터 오는 3월 발표될 국내총생산(GDP) 잠정치에 쏠리고 있다. 2%대를 기록한 속보치와 잠정치 숫자가 같은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다, 국민총소득(GNI)과 명목 GDP 증가율 등 세부적인 지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4분기 GDP 잠정치는 오는 3월3일 발표된다.
◆2%대 지켜낼 수 있을까= 우선 GDP 잠정치 역시 속보치와 격차가 크지 않게 나타나면서 '연간 2%대 성장' 이라는 숫자를 지켜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GDP 증가율 속보치는 소수점 두자리까지 확인하면 2.01%다. 이 가운데 정부 기여도가 1.5%포인트, 민간 기여도 0.5%포인트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1998년 외환위기 때를 제외하면 최근 30년 동안 가장 저조한 성적표다.
만약 오는 3월 발표되는 잠정치에서 숫자가 조정된다면 지난해 GDP증가율 잠정치는 1%대로 떨어질 수 있다.
GDP 잠정치는 속보치를 집계한 이후 들어온 통계를 취합하는 과정에서 숫자가 조정될 수 있다. 한은은 분기가 끝난 뒤 28일 안에 취합된 자료만으로 일단 속보치를 발표한다. 자료를 완전히 모아 잠정치를 내놓는 것은 그로부터 40여일이 지나서다. 다만 정부가 지난해 막판까지 돈을 풀었던 만큼 이번엔 하향 조정될 가능성은 크지는 않다.
◆명목성장률은 1%대?= 시장 가격을 반영한 명목 GDP 증가율은 1%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돼 사실상 디플레이션에 진입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경제성장률은 기준연도 가격을 적용하는 실질 GDP 증가율을 사용하지만, 명목 GDP는 해당 연도의 시장가격이 반영되기 때문에 체감 경기에 더 가깝다.
한은 관계자는 "GDP 디플레이터가 계속해서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어 명목성장률이 실질성장률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3분기까지 명목성장률이 1%가량 됐기 때문에 이런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명목 GDP 증가율은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듬해인 1998년 -1.1%를 기록한 이래로 한 번도 3%를 밑돈 적이 없었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GDP디플레이터 등락률(전년 동기 대비)도 하락 폭이 커지고 있다. 2018년 4분기 -0.1%에서 2019년 1분기 -0.5%, 2분기 -0.7%, 3분기 -1.6%로 하락 폭은 점점 커지고 있다. GDP디플레이터는 소비자에게 밀접한 물가만 측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달리 국민 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 수준을 보여준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교수는 "명목 GDP는 현재 실질 GDP보다 훨씬 낮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또 "실질 성장률이 2%를 달성했지만 하락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 경기 부진은 심화하고 있다"며 "GDP 잠정치는 2% 성장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낮아진 국민총소득도 주목= 한편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18년 3만3346달러 수준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성장률이 둔화하고 원화 약세(환율 상승) 현상이 겹치면서 나타난 결과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인당 GNI는 약 3만2000달러 안팎으로, 2018년 3만3434달러에 비해 4~5% 하락할 것으로 추산됐다. 추정대로라면 지난 2015년 이후 4년 만의 감소다. 2018년에는 GNI가 3만1000달러를 돌파하며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열었지만 다시 GNI가 감소 추세로 꺾이게 된 것이다.
1인당 GNI는 국민의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명목 국민총소득에 통계청 추계인구와 원·달러 환율을 반영해 구한 값이다. 환율을 반영하면서 GNI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1인당 국민소득이 지난해보다 줄더라도 3만달러 이상은 무난히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한은은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계속 성장한다면 10년 내에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를 달성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정확한 GNI 숫자 역시 3월에 확인할 수 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