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원자력연 일부시설서 방사성물질 방출..원안위 사건 조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연증발시설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

KINS 사건조사팀 파견해 조사중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 일부시설에서 세슘137, 세슘134, 코발트60 등 방사성물질이 방출돼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가 사건 조사에 착수했다.

원안위는 지난 21일 원자력연으로부터 인공방사성핵종 방출 사건을 보고받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KINS) 사건조사팀을 파견해 조사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이데일리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측정한 연구원 주변 하천토양 세슘137 농도 현황(단위:Bq/kg).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연은 조사 결과, 이번 사고 원인이 연구원내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의 부대시설인 자연증발시설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자연증발시설은 방사능농도가 매우 낮은 극저준위 액체 방사성폐기물을 태양열로 물만 자연적으로 증발 처리하는 시설이다. 이 시설은 자연증발 효율 향상을 위해 건물 대부분이 유리로 만들어져 있다.

원자력연은 매분기별 지정된 지점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해 보고해 왔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30일 원내 정문 앞 등의 하천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해 지난 6일 방사능 농도를 분석한 결과, 일시적 증가 현상이 나타나 원인을 찾기 위해 자체 조사를 확대해 왔다.

해당 지점의 세슘137 핵종의 방사능 농도는 최근 3년 평균값(<0.432 Bq/kg) 보다 높은 25.5Bq/kg로 나타났다. 원자력연 자체 조사 결과, 원자력연 내부 하천 토양에서 측정한 세슘137 핵종의 방사능 농도는 최고 138Bq/kg으로 집계됐다.

외부 하천 하류 토양에서는 지난 2018년부터 1년간 원자력연이 직접 측정한 시설 주변의 방사능 농도 범주 내에 있었고, 하천수에서는 미검출됐다.

KINS 사건조사팀은 원자력연에 맨홀 구역에 대한 방사선 준위 분석을 위해 시료 채취와 오염 토양 제거작업을 수행토록 하고,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해 해당 구역을 밀봉토록 조치했다.

원안위는 ”사건조사팀이 주변 하천토양의 위치별 방사성물질 농도를 측정하고, 환경영향평가와 모든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며 ”사건조사팀의 조사결과를 검토해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