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성추행 교수’ 규탄 학생 징계 움직임에…서울대 학생·동문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학생 단체 '성폭력·인권침해 근절 특위' 학내 기자회견

특위 "전 학생 대표에 대한 부당한 징계 시도 철회해야"

서울대 인문대·민주동문회 등 재학생·동문단체도 함께해

성추행 피해자도 탄원서 제출…"왜 부당한 징계 내리나"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서울대가 성추행 혐의 교수의 연구실을 점거한 학생 대표를 징계하려 하자 학생·동문이 이를 규탄하고 나섰다. 성추행 사건의 피해자 역시 해당 징계가 부당하다며 학생들 주장에 힘을 보탰다.

이데일리

서울대 대학 내 권력형 성폭력·인권침해 근절을 위한 특별위원회 등이 22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박순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 대학 내 권력형 성폭력·인권침해 근절을 위한 특별위원회(특위) 등은 22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시 학생 대표를 징계위에 회부하는 건 사건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처사이자 민주주의 가치를 평가 절하하는 행위”라며 “서울대 측은 지금 당장 학생 대표에 대한 부당한 징계 시도를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해 7월 이수빈 당시 서울대 인문대 학생회장 등은 제자를 상대로 한 갑질과 성추행으로 논란을 빚은 A교수에 대한 학교 측의 늑장 징계 처분을 지적하고 학교 측에 A교수 파면 등을 요구하면서 1달여간 A교수 연구실을 점거해 학생 자치 공간으로 이용했다.

특위에 따르면 서울대 측은 이러한 점거를 주도했다는 혐의로 이 전 회장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했다. 이에 특위는 지난 16일 이 전 회장에 대한 학교 측의 부당한 징계 시도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이러한 소식이 알려진 이후 서울대 안팎의 재학생·동문 단체들도 특위 측과 뜻을 함께하기 시작했다. 서울대 인문대 학생회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인문대 학생회 단과대 운영위원회 결의로 진행한 학생 공간 전환이 문제라면, 인문대 학생회원 전체가 징계위원회에 회부돼야 마땅하다”며 “학교 측은 A교수가 왜 해임됐는지, 왜 학생들이 그런 선택을 지지하고 이행할 수밖에 없었는지 겸허한 자세로 고민하고 반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자보엔 이날 오전 기준 학부생 425명, 대학원생 25명, 20개 학내 단체가 연대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원택 서울대 민주동문회 공동회장은 “교수가 저지른 성추행과 권력형 갑질을 근절하기 위한 학생들의 노력에 (학교 측이) 징계로서 응답한다는 건 또 다른 갑질이 아닐 수 없다”며 “학교 측은 학생 징계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학생 인권을 위해 어떤 근본적 대책을 세울 수 있을지 고민하는 일에 매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A교수 사건’의 피해자인 대학원생 김모씨 역시 해당 징계가 부당하다는 의견을 특위 측에 전했다. 김씨는 탄원서를 통해 “최근 A교수는 제자 강제추행으로 검찰에 기소됐는데, 이런 사람을 서울대 커뮤니티에서 내보내는 공헌을 했는데도 이 전 회장에게 왜 부당하게 징계를 내리는 것이냐”라고 반문하며 “지금 이 전 회장을 징계하는 건 또다시 학생들의 당당하고 정의로운 삶을 방해하는 일밖에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8월 서울대에서 해임된 A교수는 지난달 30일 강제추행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A교수는 지난 2015년과 2017년 서울대 교수로 재직할 당시 학회 참석을 위해 방문한 외국 한 호텔에서 대학원생 제자 B씨를 상대로 총 3차례 성추행을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