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셀트리온그룹, 중국 우한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설립…6000억 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기우성(앞줄 왼쪽) 셀트리온 대표이사 부회장과 천핑(Chen Ping) 동호개발구 당공위 부서기가 20일 중국 우한에서 열린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셀트리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셀트리온그룹이 중국 후베이성·우한시와 손 잡고 세계 2위 의약품시장 중국에 직접 진출한다.

셀트리온그룹은 우한시에서 셀트리온그룹 및 후베이성 정부, 우한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우한시는 300여 개의 제약바이오 연구·개발(R&D) 센터 및 기업이 자리해 중국의 바이오산업 전진 기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제품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플랫폼 등을 구축했다.

셀트리온그룹은 후베이성 및 우한시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중국 내 최대 규모인 12만 리터급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건설한다. 생산시설 건설을 위한 부지를 최종 선정했으며 상반기 중 기공식을 갖는다. 중국 공장에서는 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뿐만 아니라 중국 내수 시장 공급을 위한 대규모 의약품위탁생산(CMO)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중국 내 의약품 판매를 위한 직판망도 함께 구축해 현지 내수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그룹은 2025년까지 5년간 설비투자에만 약 6000억 원 이상을 투입한다. 투자재원은 그룹 자체 현금보유고 및 외부 투자유치 등으로 마련한다. 이번 투자계약 체결로 설립하는 법인을 통해 설비투자뿐 아니라 제품개발에도 지속적인 투자를 할 계획이다. 이미 보유한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뿐 아니라 추가로 개발하는 바이오시밀러 제품까지 지속적으로 중국에 출시, 우한법인을 중국 내 최다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기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중국은 2017년 이후 국가의료보험(NRDL)에 바이오의약품이 대거 등재되면서 2019년 케미컬의약품 대상으로 먼저 시행된 국가집중입찰제도에 바이오의약품도 곧 대상에 포함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협약식에 참석한 셀트리온 기우성 부회장은 "셀트리온그룹이 중국시장에 직접 진출한 만큼 세계적인 수준의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을 중국 환자들에게 빠른 시간 안에 공급하고 이를 통해 셀트리온그룹이 제2의 도약을 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역량을 집중시키겠다"고 말했다.

후베이성 위원회 부서기 겸 우한시 위원회 서기 마궈창은 환영사를 통해 “우한시는 대규모 공장을 유치하게 된 데 진심으로 환영하며, 앞으로 셀트리온과 손잡고 우한을 중국 내 최고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기지로 성장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중국 의약품 시장은 2018년 기준 9000위안(150조 원) 규모다. 현재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약 600억 위안(10조 원) 규모로, 2023년에는 1300억 위안(22조 원)까지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투데이/유혜은 기자(euna@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