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당 협의체 가까스로 합의…황교안·유승민 담판 주목
한국당·혁통위, 안철수에 연일 러브콜 ‘빅텐트’ 강조
새보수당은 “개혁보수의 길 아니다”…안 합류 ‘경계’
어수선한 혁통위 미래를향한전진 4.0 이언주 대표(가운데)가 20일 국회에서 열린 혁신통합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이 보수통합을 위한 일대일 기구인 양당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한국당이 20일 새보수당의 제안을 수용한 것이다.
판이 깨질 상황이었던 범보수 통합이 가까스로 한 고비를 넘은 셈이다. 그러나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복귀하면서 보수통합 열차는 또 다른 변수가 생겼다. 한국당과 혁신통합추진위원회(혁통위)는 안 전 대표까지 포함하는 중도·보수 빅텐트를 강조했지만, 새보수당은 안 전 대표 합류를 경계하는 기류다. 보수통합은 갈수록 고차방정식이 되고 있다.
새보수당은 이날 ‘벼랑 끝 전술’을 썼다. 하태경 책임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당대표단 회의에서 “한국당이 오늘까지 양당의 통합협의체를 거부하면 새보수당은 자강의 길을 가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최후통첩이었다.
그는 “새집은 정당법상 신설 합당이다. 양당의 신설 합당을 위해서는 법적으로 이행할 게 있다”면서 “협의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혁통위의 새보수당 몫 지상욱 위원은 위원직을 사퇴했다.
이에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오전까지만 해도 “혁통위가 있는데 필요한 다른 방법을 통해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에둘러 갔다. 새보수당 측에서 “더 이상 시간이 없다” “황 대표가 직접 얘기하라”고 압박하자 이날 오후 박완수 한국당 사무총장은 “양당협의체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새보수당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황 대표로서는 보수통합의 판을 시작부터 깰 수는 없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보수통합은 겨우 한발 나아갔다. 앞으로 보수통합 논의는 양당협의체와 혁통위의 ‘투 트랙’으로 진행된다. 특히 설 연휴 전에 황 대표와 새보수당 유승민 의원이 양당협의체에서 담판할지 주목된다. 양측 모두 당장 만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통합 논의가 무르익으면 두 사람이 만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야권 관계자는 “총선 후보 경선에 들어가는 다음달 초 전까지는 통합 문제를 정리해야 한다. 시기와 명분을 고려하면 통합 결실을 맺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보수통합에는 그러나 남은 과제들이 있다. ‘안철수 변수’가 대표적이다. 한국당과 혁통위는 안 전 대표가 보수통합 논의에 선을 그었음에도 연일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새보수당은 안 전 대표 합류가 지분 확보의 방해 요소라고 판단하고 있다. 보수통합은 다시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황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에게 다가가는 길이고 미래로 가는 길이라면 어느 누구든 동행하겠다”며 “짐을 나눠 지고 밀고 당겨 드리겠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를 향한 메시지로 읽힌다. 당 관계자는 “중도층의 표를 얻으려면 안 전 대표도 빨리 끌어안아야 한다”며 “황 대표가 이 부분에는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형준 혁통위원장도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안 전 대표의) 귀국 메시지를 보면 통합신당의 가치나 정책기조 등과 거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새보수당은 안 전 대표 합류에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오신환 공동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당 대표단 회의에서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다 모이자는 빅텐트론이 어떻게 개혁보수의 길이 될 수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하 대표 역시 안 전 대표 측이 먼저 연락을 취해 온다면 “거부할 이유는 없다”면서도 “(연락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바른미래당 시절 안 전 대표와 함께했던 이들은 안 전 대표 리더십에 의문도 품고 있다. 새보수당 관계자는 “안 전 대표가 파괴력이 있는지조차 물음표”라고 말했다.
임지선·박순봉 기자 vision@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