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현장 상황 영상·사진으로 공유…1단계 중부권부터 시범 서비스
올해까지 전국 통신망 구축 완료…5G 전환 '숙제'
[행정안전부 제공] |
(세종=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세월호 사고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추진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가동에 들어간다.
대형 재난 때 통신 차질로 대처가 늦어지는 상황을 막고자 구축한 것으로, 소방·경찰·해양경찰 등 관련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으로 음성은 물론 영상과 사진까지 주고받을 수 있어 더욱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는 4세대 무선통신기술(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하고 올해부터 1단계 중부권 통신망의 시범운영을 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여러 재난대응 기관들이 현장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국 단일 통신망이다.
기존에는 경찰·소방·해경·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마다 사용하는 통신망이 달랐고, 주고받을 수 있는 정보도 음성에 한정돼 있었다. 소방과 경찰에서는 초단파(VHF)·극초단파(UHF) 무전기와 유럽 표준 기반의 테트라(TETRA)를, 해경이나 보건복지부(응급의료무선통신망)는 KT파워텔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상용망(iDEN)을 주로 쓰는 식이다.
이 때문에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나 2014년 세월호 사고, 2017년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등 대형 재난 때마다 관련 기관 간에 유기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이를 보완하고자 관련 기관들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단일 통신망으로 구축됐다. 재난안전용 4세대 무선 통신기술(PS-LTE·Public Safety-Long Term Evolution) 방식을 기반으로 현장상황을 담은 고해상도 영상·사진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등 재난 상황에 특화된 37개 기능을 갖췄다.
스마트폰과 유사한 형태의 단말기를 통해 상황실이나 일선 지구대·소방서는 물론 현장 출동대원까지 연결해 수천명 단위의 다자간 통화를 할 수 있고 화상회의 방식의 영상통화도 가능하다.
영상·음성통화 내용 녹화·녹음, 단말기를 가진 현장 대원 대신 상황실에서 원격조종으로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 '주변음 청취', 사용자 폭증 때도 안정적인 통신망을 유지하는 '통화폭주 대처', 통제실에서 사용자 간 통화를 중지시키고 지시를 내리는 '가로채기' 등도 구현했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기반시설 마련과 운영비 등 총 1조5천억원가량을 투입하는 사업으로 중부권·남부권·수도권 등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1단계로 대전·충청·강원 지역을 아우르는 중부권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이 완료돼 경찰조직부터 서비스를 개시한다.
오는 8월까지 제주·경북·경남·전북·전남·광주·대구·부산·제주 등 9개 시·도를 포함한 남부권 통신망을 2단계로 구축한다. 이어 연말까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통신망 구축을 완료해 내년부터 전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사업은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때 경찰·소방·지하철공사 등이 서로 다른 무선통신망을 사용해 구조가 지연됐던 상황의 재발을 막기 위해 논의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경제성 등을 이유로 표류하다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추진돼 논의 시작 17년 만에 성과를 내게 됐다.
LTE 기술 기반으로 전국적인 국가재난통신망을 구축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라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심진홍 재난안전통신망사업단장은 "도시 단위로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사례가 있지만 비교적 최신 규격인 '릴리즈(Rel.) 13' 기반 재난통신망을 국가 차원에서 구축하는 것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라고 말했다.
다만 향후 5G 서비스로의 전환은 숙제로 남았다.
정부는 2014년 재난안전통신망 기반기술을 LTE 방식으로 정했는데 사업이 추진되는 사이 차세대 통신기술인 5G가 상용화되면서 향후 수년 안에 5G에 맞춰 새로 통신망을 구축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기지국과 단말기 교체 등에만 수천억 원에서 최대 1조원 가까운 예산이 더 들어가게 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재난안전통신망 특성상 현재 가장 안정적인 통신기술인 LTE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5G로는 재난안전통신망에 필요한 37개 기능을 아직 구현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신망 장비를 수년마다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기술 발전과 장비교체 주기 등을 고려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5G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