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한은 "인구 고령화가 23년간 실질금리 3%포인트 떨어뜨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가 지난 20여년 동안 실질금리를 3%포인트 떨어뜨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13일 발간한 BOK경제연구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는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오르면서 실질금리를 1995년에서 2018년까지 23년간 3%포인트 떨어뜨렸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질금리란 통화안정증권 1년물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값으로,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는 금리 수준을 말합니다.

권오익·김명현 부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저축이 늘고 소비는 감소한 결과"라며 "고령화 효과가 한국의 실질금리 하락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질금리는 1995년 9.0%에서 2018년 0.4% 안팎으로 8.6%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실질금리 하락폭의 3분의 1이 고령화 여파로 추정되는 셈입니다.

일반적으로 저축률이 높아지면 금리는 낮아지는 데다, 저출산에 청년 인구가 줄면 경제의 기초체력인 잠재성장률이 낮아져 금리도 떨어지게 됩니다.

금리는 장기적으로는 잠재성장률 추세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저자들은 또 "기대수명 증가가 실질금리 하락에 미친 영향이 인구 증가율 감소로 인한 영향의 두 배"라며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실질금리 하락분이 2%포인트라면, 인구 증가율 변화에 따른 낙폭은 1%포인트"라고 밝혔습니다.

기대수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 경제주체들이 즉각적으로 저축을 늘리려 하기 때문입니다.

저자들은 "향후 인구 고령화가 지속하면 실질금리가 지금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이기성 기자(keatslee@sbs.co.kr)

▶ [마부작침] 대한민국 음주살인 보고서 Ⅱ
▶ SBS가 고른 뉴스, 네이버에서 받아보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