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자율주행차량의 눈 '라이다', 관련 특허출원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타트업·중소기업이 출원량 급증 견인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차의 핵심기술인 라이다 관련 특허출원이 최근 10년간 크게 증가했다.

8일 특허청에 따르면 차량의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인 라이다(LiDAR)에 대한 특허출원은 지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연간 20여건에 불과했지만 2012년 42건으로 두 배 뛰어오른 후 2017년에는 121건으로 6배 상승했다. 라이다는 빛을 이용해 주변을 탐색하는 장치를 가리키며 주로 차량의 지붕에 회전형으로 설치되거나 차량 바디에 설치된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은 물론 스타트업·중소기업 및 외국기업 모두 출원량이 증가했으며, 특히 스타트업·중소기업이 출원량 급증을 견인했다. 스타트업·중소기업은 2014년까지 10건 미만으로 출원해 오다가 2015년에 20건 이상 출원한 후, 최근에는 30건 이상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허청은 이 같은 경향이 새로운 형상설계와 이에 따른 원가절감기술 개발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적용분야별로는 ‘자율주행차 분야’의 출원이 65%, ‘자율주행차 이외 분야’의 출원이 3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자율주행 신호처리(28%), 라이다 구조 및 제어(26%), 라이다 내장소자(10%) 분야에서 출원이 증가되고 있다. ‘자율주행차 이외 분야’에서는, 교통안전, 무인드론 , 무인 모빌리티, 핸드폰, 보안감시, 헤드셋, 레저 등 다양한 영역에서 라이다 기술이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주변 교통상황을 알려주는 보행자 안전장치에 적용되거나 무인드론을 이용해 선박의 입출항 정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등 교통안전 영역과 무인드론 영역에서 라이다 기술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호 특허청 자율주행심사팀 과장은 “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상용화를 위한 라이다 기술개발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자율주행차 이외 분야에서는 국민의 안전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분야로 라이다 기술의 활용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수민기자 noenemy@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