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019년의 마지막 수요일인 오늘(25일)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는 평소처럼 수요집회가 열렸습니다. 일본의 사과를 끝내 듣지 못하고 올해 세상을 떠난 위안부 피해 할머니 다섯 분을 기리는 추모 행사가 이어졌습니다.
김덕현 기자입니다.
<기자>
1,419번째이자 올해 마지막 열린 수요집회.
지난 1월 세상을 떠난 김복동 할머니를 비롯해 올해 돌아가신 다섯 할머니를 기리는 추모제로 시작됐습니다.
할머니들의 생애를 담은 전시물과 영정 앞에는 한 송이, 두 송이 추모의 꽃이 쌓였고 고인들의 생전 활동과 뜻을 기리는 추모사가 이어졌습니다.
[황인혁/연희중학교 3학년 : 헤아릴 수 없는 고역 앞에서 할머니들은 용기를 내셨습니다. 할머니들은 늘 정의 앞에서 한 발, 아니 두세 발을 더 앞서가셨습니다.]
정의기억연대 등 참가자 8백여 명은 한목소리로 일본의 공식 사과와 배상을 거듭 요구했습니다.
이제 생존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는 20명뿐.
건강 문제로 집회 현장을 찾지는 못했지만, 할머니들도 추모의 뜻을 밝혔습니다.
나눔의 집에서 만난 이옥선 할머니는 답답한 상황에 한숨을 내쉽니다.
[이옥선 할머니 : 일본에선 사죄를 안 하려고 저리 애를 쓰는가 본데. 우리는 꼭 사죄를 받아야 하는데. 사죄 안 받고 죽은 사람 눈도 못 감을 거거든.]
모레 헌법재판소는 박근혜 정부가 일본과 맺은 위안부 합의에 대한 위헌 여부를 선고합니다.
할머니들과 주최 측은 위헌이 나오길 기대하며 고 김학순 할머니의 첫 피해 증언 뒤 30년 가까이 이어진 노력이 새해에는 결실을 맺기를 기원했습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 영상편집 : 소지혜)
김덕현 기자(dk@sbs.co.kr)
▶ ['마부작침 뉴스레터' 구독자 모집 이벤트] 푸짐한 경품 증정!
▶ [2019 올해의 인물] 독자 여러분이 직접 뽑아주세요. 투표 바로가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