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 터지고 LTE 느려졌다?…정부 조사 결과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작년보다 LTE 평균 다운로드 속도 5% 빨라져…SKT>KT>LGU+ 순으로 빨라]

머니투데이

/그래픽=김현정 디자이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G(5세대 이동통신) 도입 이후 LTE(롱텀에볼루션) 품질이 떨어졌다는 이용자들의 불만이 제기됐지만 조사결과, LTE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지난해보다 5%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3사 중에선 SK텔레콤의 LTE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빨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3일 발표한 ‘2019년 통신 서비스 품질 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국내 LTE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58.53Mbps(메가비피에스)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비 5.2% 빨라졌다. 반면 같은 기간 업로드 속도는 42.83Mbps로 전년 대비 2.5% 느렸다.



LTE 다운로드 속도, 1년전보다 5% 빨라졌다…가장 빠른 곳은 '광주'



사업자별로 SK텔레콤의 LTE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211.37Mbps로 가장 빨랐다. 이어 KT 153.59Mbps, LG유플러스 110.62Mbps 순이었다. SK텔레콤과 KT는 속도가 개선됐고 LG유플러스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테마별 지역 조사에선 지하상가 다운로드 속도가 275.46Mbps로 가장 빨랐다. 무선 환경이 옥외에 비해 좋았기 때문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밖에 △놀이공원 △백화점 △지하철 역사·객차 △공항·터미널 등이 평균보다 LTE 속도가 빨랐다.

LTE 속도가 가장 느렸던 테마 지역은 KTX 객차로 84.85Mbps 속도를 보였다. 이는 측정기간 중 KTX 선로에 5G 시설 공사를 시행한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고 정부는 추정했다.

권역별로는 광주 지역 LTE가 가장 빨랐고 경상남도가 가장 느렸다. 서울, 인천, 부산, 대전, 대구, 울산, 광주, 강원도, 전라북도 등도 전국평균보다 LTE 다운로드 속도가 빨랐다. 경기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충청남북도, 제주도, 세종시 등은 전국 평균보다 느렸다.

대도시 LTE 다운로드 속도는 183.58Mbps로 빨라졌지만 농어촌 지역은 128.52Mbps로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때문에 도농간 속도 격차 역시 지난해보다 43.75Mbps 늘었다.

상용 와이파이가 가장 빠른 곳은 터미널로 나타났다. 테마지역 상용 와이파이는 터미널이 434.40Mbps로 가장 빨랐고 지하철 객차가 58.50Mbps로 가장 느린 것으로 측정됐다. 와이파이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상용 와이파이가 333.51Mbps로 전년대비 9% 빨라졌고, 공공 와이파이는 394.76Mbps로 11.5% 개선됐다.



통신사가 밝힌 LTE 커버리지, 5% 과대 표시



올해 10월 기준 통신사가 자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 커버리지 맵을 점검한 결과 3G·와이파이·유선인터넷은 약 98% 이상이 일치했다. LTE는 5.33% 과대 표시됐다. 지난해(12.94%)보다는 수치는 개선됐지만 정부는 과대 표시된 부분을 시정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용자 상시평가로 본 기가급 유선인터넷 평가결과 500Mbps급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473.22Mbps, 업로드 속도는 476.09Mbps으로 나타났다. 1Gbps급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951.67Mbps, 업로드 속도는 949.19Mbps로 측정됐다. 모두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다. 사업자 자율로 진행된 초고속인터넷(100Mbps)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99.27Mbps, 업로드 속도는 98.85Mbps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올해 품질평가 결과 5G 도입에도 불구하고 LTE 서비스 품질은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도 “내년에는 5G의 통신사 투자를 촉진하고 5G 커버리지와 통신품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G에 대한 품질평가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통신 서비스 품질 평가는 올해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간 진행됐다. 대상은 △통신3사의 무선인터넷(LTE·와이파이·3G) △이동통신 음성통화(VoLTE·3G) △유선인터넷(500Mbps급·1Gbps급) △통신사가 제공하는 커버리지 정보 등이다. 지역은 △전국 행정동(도시·농어촌) △테마지역(유동인구 밀집지·인빌딩·지하철) △취약지역(해상로·유인도서·등산로) 등이다.

김주현 기자 naro@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