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국가산업단지 올해 생산·수출, 두 자릿수대 급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국가산업단지의 실적 부진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수출·가동률이 전반적으로 침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6일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3개년(2017년1월~2019년9월) 간 국가산업단지주 실적 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국가산단 생산액 및 수출액 추이. [자료=한경연] 2019.12.16 sjh@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9년 1~9월 생산액과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 16.8% 감소했다. 평균 가동률 역시 2018년 3분기 80.2%에서 2019년 3분기에는 77.9%로 떨어졌다.

업종별 생산액 감소율은 ▲기계 -22.7% ▲전기전자 -17.4% ▲석유화학 -16.4% 순이다.

업종별 수출액 감소율은 ▲기계 -29% ▲전기전자 -22.8% ▲섬유의복 -21% 순이다. 산업단지별로는 여수국가산업단지의 생산액 감소폭이 21조9000억원으로 가장 컸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생산액 수출액 감소 상위 5개 국가산단. [자료=한경연] 2019.12.16 sjh@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9년 1~9월 중 생산액 감소가 가장 큰 국가산업단지는 여수국가산업단지(-21조9000억원)다. 다음으로 ▲시화국가산업단지(-11조3000억원) ▲창원국가산업단지(-10조5000억원) ▲반월국가산업단지(-7조8000억원) ▲구미국가산업단지(-2조6000억원) 순으로 생산액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수출액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난 국가산업단지 역시 여수국가산업단지(-82억4000만달러)다. 뒤이어 ▲창원국가산업단지(-55억3000만달러) ▲구미국가산업단지(-52억9000만달러)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40억3000만달러) ▲시화국가산업단지(-10억6000만달러) 순으로 수출액 감소폭이 컸다.

같은 기간 생산액과 수출액 감소율이 가장 큰 지역은 전남이다. 전남은 각각 24.9%, 26% 감소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최근 국가산단은 내수위축과 수출수요 감소로 실체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특히 산업단지는 지역경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지원제도 정비 및 확대, 무역리스크 해소 등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sjh@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