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꼬리표' 없는 미세먼지 배출, 드론 띄워 현장 잡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미세먼지는 해외에서 오지만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양도 무시를 할 수가 없습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미세먼지 배출 사업장을 단속하고 있지만, 이게 쉽지가 않습니다. 최근엔 드론을 띄워서 하늘에서 매의 눈으로 지켜봅니다.

조승현 기자가 동행 취재했습니다.

[기자]

강원도 원주의 공단입니다.

금속과 석유화학 등 60여 개 업체가 모여 있습니다.

대형 드론 한 대가 날아오릅니다.

상공을 날면서 각종 대기질 수치를 실시간 파악합니다.

미세먼지 측정용 드론을 잠시 보여드리겠습니다.

지금 이 화면 안쪽으로 들어왔는데요.

드론 아래를 보시면 측정 센서와 카메라가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대기 중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비닐봉투도 달려 있습니다.

이 드론은 지상에서부터 최대 150m까지 날아올라서 사람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미세먼지 배출 사업장을 잡아내게 됩니다.

드론이 가져온 대기 시료를 공기질 분석 차량으로 가져갑니다.

폐암을 유발하는 아크롤레인 수치가 유독 높습니다.

[이영훈/수도권대기환경청 미세먼지감시팀장 : 굴뚝에서 직접 배출되는 걸 확인했기 때문에 저 사업장을 대상으로 인력을 투입해서 점검할 계획입니다.]

그 동안 미세먼지 단속은 배출 현장을 급습해야만 가능했습니다.

[방금 쓰신 거 뭐예요 이거? 이거 쓰신 거죠? (…)]

하지만 드론과 이동측정차량을 쓰면 단속 대상을 크게 늘릴 수 있습니다.

측정을 더 정밀하게 할 수 있어 지역별 오염물질 지도를 그릴 수도 있습니다.

환경부는 올해 안에 전국 모든 환경청에 드론 단속장비를 들일 계획입니다.

(화면제공 : 환경부)

조승현 기자 , 박용길, 김영선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